-
-
가상역사 21세기
마이클 화이트.젠트리 리 지음, 이순호 옮김 / 책과함께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아 이런 불성실한 독자같으니. 출판사 '책과함께'로부터 이 책을 받은지 어언 몇달이 지났는지 셀 수도 없다 이제. 너무나 미안해서 고개도 못들겠다. 책 읽고 싶다고 함부로 도서신청을 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절실히 든다. 제목이 참 끌렸고, 내가 충분히 관심 갖는 분야의 도서이기에 신청을 했는데, 결국 가장 늦게 리뷰를 올린, 가장 불성실한 독자가 되고 말았다. 죄송합니다. 출판사 여러분. <한권으로 보는 마르크스>는 제 날짜까지 올렸답니다. 꾸벅.
지금은 21세기 초반. <가상역사 21세기>의 저자 마이클 화이트와 젠트리 리는 불과 21세기가 시작한지 얼마 안된 시점에서 21세기를 마무리짓는 저서를 쓰겠다고 나섰다. 주변 사람들이 뜯어 말릴 것은 당연한 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저자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21세기의 역사를 쓰고 있다. 노스트라다무스 처럼 예언이라도 하겠다는 것일까? 아니다. 결코 아니다. 그들은 예언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예언이라는 것은 어떤 믿을 수 없는 힘에 의거해 신내린 인간이 앞으로 언제쯤 지구가 종말할 것이다, 언제쯤 대재앙이 닥칠 것이다 라고 그야말로 말 그대로 '예언'하는 것인데 비해, 두 저자가 하고자 하는 작업은 '예언'이 아닌 '예상'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한참 뒤의 미래에 어떤 일이 발생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 저자들 역시 모르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가상역사 21세기>의 저자는 앞으로 일어날 수많은 일들의 가능성 중 단 하나에 대해서 서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목이 'THE' 로 시작하지 않고 'A'로 시작하는 것이다. 단지 많은 가능성 중 하나를 이야기해보고자.
이 책은 매우 두껍다. 장장 532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은 모두 미래의 가능한 이야기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아니 도대체 아직 벌어지지도 않은 미래에 대해서 무슨 할 말이 이리 많을까? 뭘 근거로 해서 이렇게 방대한 책을 저술할 수 있었을까? 이건 내가 이 책을 읽는 내내 궁금했던 질문 중의 하나이다. 도대체 뭘 근거로 해서!
<가상역사 21세기>는 지구상의 모든 분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생물학의 혁명, 쾌락, 죽음, 전쟁, 핵, 국제문제, 테러, 세계대국, 지진, 주식, 인구증가, 기아, 외국인, 대륙공동체, 아프리카, 일본, 멕시코, 중국, 네트워크, 오락, 가상세계, 사랑, 예술과 문화, 로봇, 환경, 물, 생태계, 우주 등 이 책이 다루고 있는 분야는 어느 하나만 딱 찝어서 말하기도 어려운 무거운 주제들 뿐이다. 아니 이것들을 도대체 어떻게 다 다룬단 말인가? 그가 모든 분야의 전문가도 아니고 저 많은 주제를 가지고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그런데 정말 이야기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방대하고 깊은 지식과 자료수집 능력에 찬사를 보냈다. 정말 대단하다. 모든 분야의 '과거의 역사'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있지 않는 한 그 분야들의 미래를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얼마나 영양가 있는 책인지를 논하기에 앞서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저자는, 또 이 책은, 대단하다.
또 하나의 의문. 이 책을 소설로 분류해야 할까, 아니면 인문사회과학 서적, 그 중에서도 역사서로 분류해야 할까? 소설은 허구를 다룬다. 이 책도 허구를 다룬다. 허구를 다루는 모든 책은 소설이다? 아니다. 꼭 그렇지는 않다. 소설은 허구를 다루지만, 허구를 다룬다고 다 소설은 아니다. 소설에는 등장인물과 사건의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 책에는 등장인물이 없다. 물론 중간중간 가상의 인물이 등장하지만 그들은 각각의 주제를 설명하는데 제시되는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다. 그럼 역사서인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역사서라는 것은, 지금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상으로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서 그 '사실'을 서술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사실도 아니고, 과거의 일도 아니다. 그럼 뭐야. 소설도 아니고 역사서도 아니야?
역사서다. 우리가 흔히 인식하고 있는 고정된 관념으로서의 역사서는 아니다. 분명히. 하지만 이 책은 역사서다. 저자의 주장에 대해 옮긴이가 말하고 있는 부분을 잠깐 살펴보자.
"과연 그럴까? 역사는 꼭 인류 사회의 지나온 변천 과정만을 더듬어 가야 하는 것일까? 사실만을 다뤄야 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는 것이 <가상역사 21세기>를 쓴 저자의 주장이다. 과거의 자취를 현재의 관점으로 바라보든 현재의 관점으로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든 역사는 다 같은 역사라는 것이다." (옮긴이의 말 中)
역사는 꼭 인류의 과거일만을 서술해야하는가? 사실만 다루어야하는가? 아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하여 과거를 살펴보는 것도 역사이지만, 현재를 기준으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를 예측해보는 것도 역사다. 흔히 미래를 다루는 학문을 '미래학' 이라고 하지만 더 큰 범주에 있어서 미래학은 역사에 포함된다. 넓은 범주의 의미에서 미래를 다루는 이 책 또한 역사서라고 분류할 수 있겠다.
저자는 정말 대단한 자료수집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그 많은 지식을 자기화시켜서 씹고 또 씹고 곱씹어서 짜깁기하고 재구성해내어 미래를 바라본다.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정말 내가 21세기를 다 산뒤에 지난 과거를 정리하는 듯한 기분이다. 아니 어쩜 그렇게 세심하게 또 논리적으로 마치 일어났던 일을 머리로 재구성해 바라보듯이 쓸 수가 있단 말인가. 그는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에서 현재로 와서,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서 '그냥 생각'이라고 말하고선, 정말 미래에 발생활 확실한 일들을 책으로 써낸 것일까, 하는 의문도 든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렇게 자세히 쓸 수가 있어. 다 말이 돼잖아.
그가 예상하는 미래의 모습은 밝다. 대개의 소설들이 미래의 암울한 측면들을 바라봤던데 비해, 그가 바라보는 우리의 미래는 생각보다 확실히 밝고 긍정적이다. 정말 그의 말대로만 미래가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핵전쟁과 같은 부분은 빼고. 그가 예상하는 미래는 간혹 테러나 핵전쟁과 같은 우울하고 슬픈 사건들도 있지만, 큰 맥락에서 봤을 때 매우 긍정적이다. 밝은 미래를 서술하고 있다. 그래서 책을 다 읽고 난 뒤에도 기분이 좋다.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이런 분야에 있어서 우리의 미래는 어떨까, 그는 또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궁금했다. 그래서 쉬지 않고 후딱 읽었다. 진작 이렇게 읽었으면 좋았을 것을. 책 두께에 지레 겁먹고 미루고 미루다 여기까지 왔다. 나중엔 자포자기상태로 그냥 놔뒀다가 내내 마음이 찜찜했는데 이제서야 그 찜찜함을 거둔다. 어쨌든 즐겁게 읽었고, 책의 편집과 구성에 대해서도 만족한다. 물론 두꺼운 책에 비해 값싼 책값도 만족.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 세개인 이유는 그저 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재미로 읽어본다는 의미를 가질 뿐, 이 책에 대한 대단한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