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
알랭 드 보통 지음, 이강룡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5월
구판절판


"사려 깊고 충실한 화자를 쓸모 없는 존재로 여기고 그냥 지나쳐버리기 일쑤다. 모든 이들에게는 자신과 똑같은 처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있으며 자신의 실수, 과오, 회피 그리고 편법을 그들에게 알려주지 않았던가. 쓸모 면에서는 그들이야말로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확실한 존재들일 것이다. 사람으로서의 동질성만이 있을 뿐이다. 가식과 혐오를 벗어던지고 생각해보면 좋거나 나쁘거나 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다 평범한 인간일 뿐이다."(새뮤얼 존슨)-22쪽

"기존의 모든 전기는 어린 시절에 대해 이야기할 때 주인공이 어른이 돼 쓴 시나 산문에서 끄집어낸 우화들, 그리고 사랑하는 이모 또는 그 반대의 친척들에 관한 추억,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학교 친구들로부터 얻어낸 에피소드 같은 것으로 치장돼 있다." -35쪽

"일반적인 전기에는 저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그저 작가에 의해 기술된 주인공의 삶만이 실려 있을 뿐이다. 우리가 작가에 관해 알고 있는 것은 이름뿐이다." -38쪽

"그와 사회적 관계를 맺고 같이 먹고 마시며 더불어 살아보지 않았다면, 그 누구도 다른 이의 삶을 기술할 수는 없다."(새뮤얼 존슨)-45쪽

"타인에 대한 명료한 첫인상들을 무너뜨리는 것은 결국 무지함이 아닌 앎의 축적이라는 것을, 우리의 선험적 도식들을 지워버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른 사람들과 보내는 시간의 길이다."-57쪽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그 이상 알고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걸 의미한다."-58쪽

"전기의 고결함을 유지하는 것과 인간적 집착이라는 원초적인 영역을 서로 뒤섞어서는 안된다. 인간적 집착과 전기적 충동사이에는 연결고리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누군가를 완벽하게 알고 싶다는 충동이다."

"진정한 전기가 되려면 저자와 주인공 사이에 어느 정도 정서적 관계가 있어야 한다." -68쪽

"당신이 주인공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들을 뒤쫓지 않을 것이다."
(리처드 홈즈)

"전기 작가들은 아주 특별한 방식으로 그들의 주인공들에게 집착한다. 대개 그들은 주인공을 연구 주제로 택하는데, 그건 개인적인 감정의 영역에 기인한다. 처음부터 주인공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프로이트)-68쪽

"음식은 주인공들과 함께 등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음식을 철학적 사유의 재료로 삼지는 않으며, 즐기지도 않고, 그렇게 해야 할 이유가 딱히 없다면 먹지도 않는다. 그들은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배고픔을 느낀다. 그런데도 아침과 점심식사를 끊임없이 갈망하는 우리의 욕구는 작품 속에 반영되지 않는다."(E.M. 포스터)-113쪽

"우리는 사적으로는 중요하게 간주하면서 공적으로는 사소하게 치부해버리는 것들 속에서 한 개인의 본질을 찾는 경향이 있다."-114쪽

"누군가에게 과거를 떠올려보라고 하는 것은 그에게 총을 겨눈 채 재채기를 하라고 윽박지르는 것과 비슷하다. 그들이 떠올리는 것은 자신의 순수한 의지에서 나오는 진정한 기억도 아니다."

"과거 속 기억과의 진정한 충돌은 시간적 거리를 뛰어넘어, 과거 속 장면이 우리 앞에 느닷없이 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과거 속의 기억이 아니라 시간의 바깥에 있는 어떤 주머니 속에서 막 꺼낸 것 같은 시간이다. 진정한 기억은 자신과 현재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녹여버린다."-127쪽

"기억이란 누군가의 질문에 의해 억지로 끌어올려지는 게 아니다. 어느 기차역 카페에서 풍겨오는 샌드위치 냄새를 맡고 비슷한 냄새를 맡았던 오래전으로 돌아가는 우연한 조우 같은 것이다."-128쪽

"기억은 스스로 단계를 밟아나가며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불친절하게 불쑥 튀어나오고, 어떤 우연한 주제를 여는 서막일 뿐이다. 프라이팬에서 지글거리며 튀겨지는 요리가 아니라 다시 데운 음식이다."-130쪽

"은유적으로 말해서 작가는 주인공과 잠자리를 같이 해야한다. 전기가 격식에 맞춰 작성된 회고록이나 학술 논문과 구분되기를 바란다면 말이다. 전기는 문자로 씌어질 수 없는 생각의 연쇄고리다. 침실의 불빛이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를 조사해본 다음에야 두 사람이 서로 아는 사이임을 알려주는 행위와는 다른 것이다."-154쪽

"섹스가 친밀함의 상징이기는 하다. 그러나 섹스 자체가 두 사람이 친밀해지는 것을 보장하진 않는다. 오히려 섹스가 상징하고 있는 이상적인 조건을 깨뜨릴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좀더 험난한 과정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누군가와 섹스를 나누는 것은, 마치 책을 사두고 그것을 읽었다고 착각하는 것과 같다."-155쪽

"친밀해지는 것은 유혹과는 정반대의 과정을 거친다. 친밀함을 보인다는 것은 상대방으로부터 비호의적인 판단- 사랑할 가치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는 - 이 초래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혹이 자신의 가장 멋진 모습 또는 가장 매혹적인 정장차림을 보여주는 것 속에서 발견된다면, 친밀함은 가장 상처받기 쉬운 모습 또는 가장 덜 멋진 발톱 속에서 발견된다."-157쪽

"우리는 인간에게 완전히 속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의심되는 우리 성격의 어떤 측면들을 비밀이라고 부른다. 비밀은 우리가 가진 고유함 중에서 어둡고 창피한 일면이다. 사회적으로 예상될 수 있는 비밀의 효과란 천재나 영웅주의를 만들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겪게 되는 비난에 대한 두려움, 모욕감을 꿋꿋이 견뎌야 하는 상황 속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164쪽

"죽음은 잠재적 대안들의 적이다. 죽음은, 외부적으로 보면 의미심장한 것들도 내부에서 목격하면 보잘 것 없는 것일 수도 있다는 사실 또는 실제로 벌어진 사건의 수보다 더 많은 플롯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망각하게 한다."-214쪽

"우리는 모두 같은 요인들로 감정이 촉발된다. 모두 같은 오류들을 범하고, 모두가 희망에 의해 생기를 되찾고, 위험에 의해 가로막히고 욕망에 뒤얽히며 환락에 유혹된다."(새뮤얼 존슨)-231쪽

"우리는 다른 사람이 느끼는 것에 관한 즉각적인 경험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생각도 형성할 수 없다. 마치 그들이 느꼈던 것처럼 우리도 느껴야 한다는 인식이 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우리의 형제가 매우 괴로워하고 있다 하더라도 우리가 편안한 상태에 있다면, 우리의 '오감'으로는 그가 겪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건 오로지 상상에 의한 것으로, 그의 감각 작용에 대한 직시만을 형성할 뿐이다. 상상 속에서 우리는 그의 상황에 처하고 그와 똑같은 고통들을 겪고 있다고 인식한다."(애덤스미스 <도덕감정론>)-232쪽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타인의 고통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 사람의 경험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서로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실제의 경험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접 경험이 항상 존재한다. 우리의 상상이 말라가고 있을 때 은유가 등장한다."-233쪽

"훌륭한 전기를 쓰는 기술이란 멈추어야 할 때가 언제인지를 아는 것이다."-293쪽

"나 같은 사람은 이 세상에 없을 것이다. 다른 사람보다 더 나을 것은 없지만, 최소한 나는 그들과는 다르다."(루소 <고백록>)-302쪽

"사람에 대해 과장된 찬사만을 쓴다면 약력은 보이지 않게 감출 수 있다. 그러나 인생에 대한 것을 쓰고 있다면 약력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어야 한다."(새뮤얼 존슨)-311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weetmagic 2005-06-19 1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다보구 여행의 기술 읽고 있는데요,...와...감동 입니다.

마늘빵 2005-06-19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 감동입니다. ^^; 줄친데가 많아서 계속 수정하면서 덧붙이고 있어요. 전 이거 다 보고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 볼거에요. <여행의 기술>은 아직 안샀는데.

미미달 2005-06-22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재미있나요?
책 자체가 무지 예뻐서 끌리는데.. ^ㅡ^

마늘빵 2005-06-22 0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이거 재밌어요. 거의 다 읽었답니다. 마저 밑줄긋기 채워넣을게요. 너무 많아서 천천히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