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50대의 힘
탁석산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2월
품절


학연이 희미해져가면서 한국 사회는 두 가지 현상을 낳고 있다. 하나는 집단주의에서 벗어나 개인주의로 접어들기 시작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부패의 사슬 중 하나가 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학연은 거대한 집단주의의 온상이었다. 학교라는 구체적이고 확실한 구심점이 있으며 사춘기를 동일한 공간에서 보냈다는 동류의식은 학연 집단주의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제는 달라졌다. 몇 회 졸업생인지를 묻고 대답이 돌아오는 즉시 서열이 세워지고 집단이 형성되는 분위기는 어렵게 되었다.
학연이 끊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개인이 주체가 되기 시작했다. 50대에게 이것은 매우 적응하기 어려운 상황 전개였다. 나는 선배를 깍듯이 모셨는데 왜 이제 와서 후배는 없고 나만 홀로 오롯이 남아있는가. 하소연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데에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고, 50대는 힘들지만 적응해왔다. -30-31쪽

권위주의가 지배한 집단문화에서 이기적인 개인주의로 전환하고 있는 이 시대에 50대는 양쪽을 다 경험한 세대로서 할 일이 있고 또 할 수 있다. 경험이 스승이라는 말이 있다. 경험을 전혀 해보지 않은 것을 새롭게 구성하거나 실천하기는 지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50대는 이런 의미에서 가장 좋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권위주의가 지배하는 공동체 문화를 경험했지만 이기적 개인주의에 의해 기존의 집단주의 문화가 갖는 단점을 깨달을 수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기적 개인주의를 보면서 공동체 문화가 갖는 미덕을 새삼스레 다시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권위주의적 집단주의의 단점은 개인주의를 통해 되돌아보게 되었고, 이기적 개인주의의 단점은 공동체 문화 체험을 통해 되짚어볼 수 있다는 말이다. 이는 개인주의 문화에서 자라난 20-30대가 갖기 어려운 유리한 입장이고, 개인주의 문화를 탐탁찮게 여긴 나머지 자성이 부족한 부모 세대에 비하면 공동체 의식을 실천하고 확신시키는 데 훨씬 좋은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174쪽

인간은 과연 평등한가? 그리고 평등을 추구할까? 인간은 경쟁하려 하며 경쟁을 통해 사회는 발전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잊고 있는 것 같다. 그러므로 경쟁의 승자가 좌파적 생활을 함으로써 승리의 과실이 자신에게만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 모두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기만 하면 아무 문제가 없을 것이다. -211쪽

자크 아탈리는 <인간적인 길>에서 가난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가난함이란 지금까지는 '갖지'못한 것이었으나, 가까운 장래에는 '소속되지' 못한 것이 될 것이다. 미래에는 첫째가는 자산이 네트워크의 소속이 될 것이다. 이것은 '주도적으로 성취해가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우선적 조건이 될 것이다."
나는 이 견해에 동의한다. 이것은 앞으로의 삶이 아니라 현재 한국에서의 삶에 이미 적용되고 있기도 하다. 실업자는 수입이 끊어졌다는 것보다도 아무 곳에도 소속되지 않았다는 것에 절망한다. 노인이 외로운 것은 아무 곳에도 갈 곳이 없으며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심지어 자식에게도 소속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혈연, 지연, 학연에 의해 네트워크를 형성해왔다. 부작용도 많았지만 어쨌든 사람들은 어딘가에 소속됨으로써 안도감을 느꼈던 것이다. 하지만 앞서 여러번 말했듯이 이런 네트워크는 붕괴되고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는 붕괴되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네트워크는 아직 형성되지 못한 것이 오늘날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불안의 주원인이다. ... 중략...
자크 아탈리는 "가족 친구 국가,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에 대한 소속은 '인간관계성 자산'이다"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자신이 지금 가진 것이 없다고 혹은 지위가 없다고 좌절하거나 씁쓸해할 것은 없다. 50대는 이 인간관계성 자산이 가장 풍요로운 세대이기도 하다. 자신이 어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으로 그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219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짱꿀라 2006-12-15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크 아탈리는 "가족 친구 국가,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에 대한 소속은 '인간관계성 자산'이다"라고 말한다."라는 구절을 보면서 인간관계성이야 말로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는 것을 알았답니다. 잘 읽고 갑니다. 이 책의 리뷰도 기다려지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비로그인 2006-12-15 0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민학교이후 세상은 늘 새로운 것을 보여 주었지요.
한국의 50대는 6.25의 페허속에서 태어나 현재의 '풍요'까지
끊임없이 에스컬레이트를 했습니다.
I can Do it을 해온 세대입니다.
근대 합리적 교육의 1세대이니 합리적 사고가 가장 큰 특징이지요.
"..사회 모두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50대에게 사치스러움, 자기과시= 저열함, 자신없음의 증표이지요.
부작용이 있든 없든 시험이라는 비교적 공정한 룰을 통과한 세대이므로
실력있는 사람을 내심 인정합니다. 편법으로 출세한 자는 끝까지 경멸하지요.
비교적 공정한 시각도 지니고 있습니다.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