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해 일한다는 것 - 일의 무게를 덜어 주는 아들러의 조언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를 위해 일한다는 것


사람은 일을 하면서 살아간다.
달리 말해 살기위해 일을 한다.
그런데, 때로는 순서가 바뀌어 일하기 위해 억지로 살아가는 상황이 되버렸다.
그래서, 나를 위한 일이 나를 죽이는 일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여야 바른 상황으로 돌릴 수 있을까?
바로 이 책의 제목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바른 길을 찾는 것이다.


저자는 아들러 심리학의 대표 주자인 "기시미 이치로" 선생이다.
이미 그의 책의 여러 권 읽었고, 매번 읽을 때마다 간단하지만 명확한 사실을 말해
저자의 글들에 깊은 공감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정작 삶을 계속하다 보면 회의가 들게 된다.
그럴 때마다 다시금 그의 글을 보게 된다.
마치 성경책을 통해 위로와 힘을 얻는 것과 약간은 비슷한 면도 있다.
하지만, 좀더 세상적인 메쏘드이다.
어찌보면 늘 살면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초심을 읽지말자"나 "처음으로 돌아가자"와 같겠다.


저자의 결론은 책의 서두에도 나온다.
"일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이 말은 내가 중요한 것이다.
내가 공동체에 헌신하고, 내 가치를 나 스스로 느끼며, 즐겁고, 신이 나서 하면 어떤 일이든 좋다.
이러한 논리에서 휴직과 전직, 이직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스스로 일을 멈추지 못하고 결단하지 못하면, 저자의 경험처럼 몸이 아프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나 또한 그런 경험을 매번하게 된다.
원인불명의 증세가 발생하지만, 언제나 의사의 진단은 "신경성 OOO"이다.


요즘 세간에 "일잘하는 법"에 대해 새롭게 정의 된 것을 듣고는 놀란 적이있다.
"일이란 너무 잘해 내게 몰리게 하는 것은 결코 옳지 않다. 다만, 짤리지 않을 만큼만 하면 된다."
이 책도 어쩌면 이런 주장과 같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속된 표현이지만, 현실 속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생산성"에서 자유를 찾을 수 있다.
자유를 찾는다는 표현조차 원래 내 것인 것을 알아가자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인간은 자유를 갈망한다. 그런데, 정작 자유는 처음부터 우리들의 것이다.
인간과 인간, 다수의 인간 속 나란 현실 설정이 스스로 자유를 던지고, 안정을 우선하게 되었다.
가정내에서 부부 관계와 직장에서의 상사란 관계도 우리에게는 자유를 억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스스로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분명 내가 시작했거나 동참했던 장치가 오히려 짐이 되기도 한다.


아들러 심리학은 타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문제점을 바라 볼 수 있게 만드는 것 같다.
내 문제라서 심각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벗어날 수 있다.
상황판단이 잘 되었다고 꼭 문제해결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해결책을 알면서도 선뜻 그렇게 하지 못한다.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처음 시작했을 때의 나란 존재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본다면
잘못 끼워진 단추를 다시 풀어 놓지 않으면 안되는 것과 같을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처음으로 돌려 놓아야 될 것이다.
물론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많이들 생각한다.
하지만, 나를 빼 놓고 나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나는 소중하다. 용기를 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