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
이호석 지음 / 답(도서출판)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이는 역사는 아주 작습니다.


국정 한국사 교과서 문제로 한 동안 뜨거웠다. 여전히 진행 중인 이야기이다.
20대 국회의원 선거가 끝이 났다. 역사 이래 이토록 여와 야가 균형을 이룬 적은 없다.
물론 이곳저곳 편한 소리가 나오지는 않는다.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또 어떤 모습이 될지.


이 책은 제목처럼 많은 이들이 몰랐던 우리 역사에 대해 화두를 꺼내고,
서로 이야기하도록 유도한다.
누군가는 그래서? 라며 되 물을 것이다. 누군가는 그렇군!하고 짧은 장탄식을 할 지도 모른다.
나 또한 그렇다. 그렇구나. 아쉽다. 안타깝다. 뭐 그런 장탄식의 연발이었다.


역사 속에서 정조가 좀더 오랫동안 제대로 개혁을 이뤄내었다면 하는 그런 가정을
소현세자가 좀더 오랫동안 살아서 정조보다 일찍 개혁을 시작하였다면 하는 그런 가정 등등.


하지만, 그런 아쉬움들이 소용없음을 안다.
그런데, 역사는 기가 막히게 반복된다.
과거를 통해 깨닫지 못하면 어떻게든 깨달으라는 하늘의 뜻인지 꼭 반복되게 된다.
다양성. 다양성은 꼭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적어도 누군가는 놓치는 것이 없게 된다.
모두들 같은 생각과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흑과 백의 논리는 깔끔해서 좋다.
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무엇을 주장하는지 헷갈리기도 했다.
그만큼 내가 흑백의 논리에 길들어진 것이다.
그만큼 많은 것들을 생각하지 않고 주류며 대세란 것에 휩쓸려 그냥 놓칠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그런 주류의 관점에서 벗어나 소수의 의견으로 잊혀진 역사에 대해
한번 생각하고 깨닫는 기회를 준다.
그냥 그렇구나하고 넘어가는 역사 이야기가 되서는 안된다.


우리 유물, 우리 조상, 국보, 역사의 영웅 등을 되짚어서 현재의 반면교사로 삼아야 된다.
그것이 조상과 선배들이 바라던 후손들에게 건내 준 메시지인 것이다.
그 시대와 그 역사 속의 이야기를 들어야 되는 것이다.


어느 친일인사의 말처럼 그렇게 일본이 쉽게 항복할 줄 몰랐다는 뻔뻔스런 말처럼
우리는 역사 속에서 또 어떤 흔적을 남길지 알 수가 없다.
우리의 역사 유물들은 일제시기와 산업화로 인한 개발 등으로 인해 흔적도 없이 사라진 것들도
꽤나 있어 보인다. 그런 시기에도 평범한 소시민이 제보하고 알리려 노력하여 전해지는 것들도
있다. 그것이 필부들의 역할일 수 있다. 모두들 입신양명에 눈이 멀어
반만년 역사 속에서 서로를 속이고 싸우기에 바빴던 역사도 있지만,
누군가는 묵묵하게 자기 소임을 스스로 세우고 지켜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 역사를 통해서 우리는 새로운 현재와 미래를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게 살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