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봉구는 어쩌다 수학을 좋아하게 되었나 - 이상하고 규칙적인 수학 마을로 가는 안내서 ㅣ 내 멋대로 읽고 십대 1
민성혜 지음, 배수경 감수 / 갈매나무 / 2015년 7월
평점 :
구봉구는 어쩌다 수학을
좋아하게 되었나
여기 재미난 제목의
수학책이 한권있다.
이 책은 수학을
이야기하지만 수학적이지 않은 그런 수학책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구봉구라는 이름의 중학생이다.
봉구는 봉황 9마리라는
뜻의 이름인데,
늘 수학적인 이름을
갖고도 수학을 싫어하여 수학시간마다 이름으로 마음이
상했다.
그런 구봉구에게 어느날
토끼가 나타났다.
마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한 바로 그 토끼같다.
그런데,
이 토끼는 앨리스의 그 토끼처럼 무관심하고
무책임하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봉구는 그렇게 토끼를
만나 수학나라로 여행을 떠난다.
선생님이 수학을
싫어하는 봉구에게
수학과 관련된 어떤
책이나 읽고 오라는 숙제를 주셨기에
봉구는 오히려 잘
되었다는 마음으로 그렇게 토끼를 따라서 낯선 세상으로
떠났다.
이쯤되니 책의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가늠이 된다.
수학을 좋아하는
이야기의 달인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어디서 본듯한 이야기
설정들이 흥미를 떨어뜨릴만한 수학이란 내용들을
적당히 기대하게
만든다.
아주 오래되었고
유명하지만 제대로 읽지 않았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기본으로
수학 역사책에서나
등장할 이야기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숫자의 기원”이나
뫼비우스의 띠, 피보나치
수열, 영겁,
불가사의, 항하사
등이 나타난다.
도대체 얼마나 많은
책들을 참고로 이렇게 새로운 책을 만든 것일까?
이 책의 저자는 정말
많은 책을 읽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위해
그 책들을 모두 음식의
양념처럼 잘 손질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 책이 수학책이란
사실은 나 또한 잊은채 모방과 짜깁기의 예술에 빠지게
만든다.
또한 주제인 수학을
적절히 기본에 붙여 넣은 기술도 감동이다.
다만,
이러한 저자의 엄청난 노력이 다른 이들,
특히 수학을 전공한 사람들에게는
불편한 상황이 될 수도
있겠다. 국어 선생님이
수학 소설을 썼다는 사실.
물론 그런 것에 대한
보호책으로 수학 선생님이 감수를 해 주었다.
외국에서는 이런 시도가
참 많다. 내가 몇 년전에
읽었던 “Zero”라는
소설이 그랬다.
3개의
옴니버스식 이야기들이 하나의 주제인 숫자 “0”에
맞춰져 있다.
기원전으로 기억되는
이야기부터 기원후 얼마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숫자 “0”의
기원이 되는 그런 이야기이다.
사실인지 허구인지
구분할 수 없을만큼 사실적이었다.
이 책은 여성작가의
섬세함도 구석구석에서 느낄 수 있다.
마치 이 책을 준비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수학관련 책들을 읽었는지 티가 날
정도이다.
다음에는 이 작가가
“반지의 제왕”이나 “나니아 연대기”를 바탕에
깔고
엄청난 대서사의 수학
원정기가 출간될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수학을 싫어하는
남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 같은데,
과연 그 약발이 먹혀들지는
의문이다.
너무도 오밀조밀한
이야기들이 공부 잘하는 여학생들에게 적합한 느낌을
준다.
만약 구지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보겠다면,
만화책으로 개조할 것을 추천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좋아하는 남학생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책 또한 오랜 세월을
거쳐 오면서 많은 삽화들이 구석구석 채워졌다.
이 책은 그런 삽화의
자리에 수식과 표들이 담겨 있어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재미삼아 읽는 책으로 더 적합하다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