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해질 용기 -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실천 지침
기시미 이치로 지음, 이용택 옮김 / 더좋은책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해질 용기


아들러 심리학에 대한 일본인 전문가의 책이다.

아들러 심리학은 우리가 흔히 긍정, 자신감, 자기암시 등 자기계발과 통하는

심리학이라고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기존의 심리학은 성장이란 주제보다는 문제란 관점에서 분석에 중점을 둔다.

왜 이런 심리상태가 발생되는가, 대상 인물은 어떤 내면을 갖고 있는가 등의

가려진 내부를 분석해서 꺼내는 것이 주 목적이다.

그에 비해, 아들러 심리학은 성장과 발전, 현재에 대한 만족과 자기 긍정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과거를 이야기 하거나 미래를 추측하려 하지 않는다.

현재를 충실하게 살아갈 아이디어를 찾는데 더 주력한다.


근래 국내 출판업계를 보면 번역서 보다는 젊은 작가들의 실험적인 작품이나

그들의 경험, 노하우 등이 인터넷을 통해 전파된 것을 정리한 형태이다.

이미 검증된 것들이고, 출판사 또한 탈고나 편집에 적은 노력이 드는 형국이다.

그런데, 이 아들러 심리학 만큼은 국내 전문가가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20년전부터 불을 피운 일본의 책들이 이제야 번역되어 출간되고 있다.

갑자기 유행을 탄다고 할까? 이런 유행에 편승해서 갑자기 전문가니 하기에는

사기가 쉽게 드러날 상황이다. 그러니, 일단 번역서로 불을 지피는 것 같다.


오늘 소개하려는 책은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인 기시미 이치로의 또 다른 책이다.

마치 시리즈인듯 제목에 모두 <용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용기는 아들러 심리학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누군가를 긍정하거나 성장시키거나, 관계 회복과 발전을 위해 아들러는 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행동을 헌신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기시미 이치로는 올해 60의 나이가 된 서양철학과 아들러심리학의 박사님이다.

그의 책에는 그의 가족사와 과거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뇌경색으로 50세에 사망한 어머니의 이야기와 치매 증상이 있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또한, 어머니가 남긴 유언과 아버지와 허심탄회하게 나눴던 이야기들,

아버지와 관계가 좋아졌던 시절의 이야기 등이 등장한다.

그래서, 이 책은 다소 어둡고 암울한 현실을 담담히 받아 들이고, 현재에 충실했던

저자의 예전 모습을 만나 볼 수 있다.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이 크다.


책은 크게 5개의 장으로 되어 있다. 1장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한다.

소개의 목적은 “행복해질 용기”의 씨앗을 뿌리는 것이다.

2장에서는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자신과 마주하기로

자신의 본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는 것이 아들러 심리학의 시작임을 알린다.

3장에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남들과 마주하기로 자신을 포함한 사회로 확장한다.

여기까지가 책의 3분의 2에 해당되는 분량이다.

4장은 나이듦을 행복하게 마주하기로 삶과 죽음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을 설명한다.

5장은 일상 속에서 행복 찾기로 끝을 맺는다.


책은 쉽지 않다. 몇 번을 반복해서 읽어 가치를 흡수해야 될 책이다.

아들러 심리학은 오늘을 이야기한다. 결코 과거와 미래를 다루지 않는다.

그러니 삶과 죽음에 대해서 단순한 견지를 갖는다. 오늘에 충실하자. 오늘을 즐기자.

현대의 성공학과 다양한 이론들은 효율성을 논한다.

하지만, 아들러는 현재의 고통, 수고, 노력, 기쁨, 아픔, 즐거움 등을 제대로 느껴라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