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부터는 탄수화물 끊어라
후지타 고이치로 지음, 황미숙 옮김 / 니들북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50세부터는 탄수화물을 끊어라.


요즘 간헐적 단식이니 하루 한 끼나 두 끼 식사가 좋으니 하는 말들이 회자되고 있다. 또 어떤 이는 먹는 것을 줄이기 보다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런 이야기들을 간단히 말해서 칼로리를 줄이라는 뜻이라며 재 해석하기도 한다.


무엇이 옳을까? 실제로 어떤 의미를 두고 이런 이야기들을 하는 것일까?


이 책의 저자는 장수 유전자가 모든 사람에게 있지만, 장수 유전자가 활성되는 시기는 50세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사인 분의 말이니 그냥 불쑥 내 뱉은 말은 아닐 것이다. 그것도 오랜 기간 의사로 재직하다 현재는 은퇴하셨지만, 아직도 활발히 활동하시는 그런 분의 말씀이다.


저자는 모든 사람은 125세까지 살 수 있는 유전자(텔로미어)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 텔로미어는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존재가 추정되었고, 최근에는 이와 관련하여 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50세는 어디에서 출현한 것일까?


인간의 수명은 지구가 출현하던 시기의 미생물에서 현재의 출산이 가능한 인류로 진화했다는 가정에서 연구된 것 같다. 그래서 미생물 같이 산소로만 생명 유지가 가능한 미토콘드리아계와 탄수화물 및 당분의 분해로 에너지를 만들어 생명 유지가 가능한 해당계로 일단 구분하여 이야기한다. 인간은 50세 이전이 진화가 된 모습인 해당계가 주되게 동작되지만, 50세 이후에는 소위 노화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미토콘드리아계와 같이 당분 섭취가 필요없는 시기가 시작된다고 한다. 그래서 탄수화물을 섭취해도 에너지로 소모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에 아예 섭취를 말라는 뜻이 된다.


하지만, 한국인은 오랜 기간 밥을 주식으로 살아왔다. 그래서 탄수화물인 밥, , 면을 끊어버리면 변비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실제 먹는 것으로 인한 문제인지 오랜 습관과 잠재의식으로 인한 문제인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백미의 차선책으로 현미가 거론된다. 현미는 백미와 달리 탄수화물에 식이섬유가 부가된 형태이기에 50세 이후 주식으로 섭취하기에 가장 적합한 식품이 된다.


앞에서 이야기한 텔로미어에 대해 좀더 이야기해 보겠다. 텔로미어는 보통 그 길이에 따라 장수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한마디로 그 길이가 짧으면 단명하게 된다. 한번 줄어든 길이는 다시 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길이가 짧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 된다. 그렇다면 길이를 유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는 장수 유전자인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는 10가지 방법을 조언한다.

1. 50세부터는 백미나 단 것은 먹지 말자. 2. 색이 진하고 향이 강한 채소를 풍부하게 섭취하자. 3. 과식, 과음은 텔로미어를 단축하는 행위다. 4. 식사는 한 입에서 서른 번씩 꼭꼭 싶어서 천천히 먹자. 5. 건더기가 가득 든 된장국은 장수건강식이다. 6. 생수가 질병, 인지증(치매,알츠하이머 등), 노화를 방지한다. 7. 식품첨가물 덩어리의 식품은 멀리하자. 8. 일주일에 두세 번은 육류를 먹자. 9. 변의 양을 늘리자. 10. 삶의 보람을 찾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살자.


결론으로 이야기한 10번째는 결국 마음이 중요하다는 뜻이 담겨있다. 앞으로의 실천만이 장수의 결과를 낳을 것이라 믿고 정진하였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