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밤새읽는 물리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사마키 다케오 지음, 김정환 옮김, 정성헌 감수 / 더숲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어서 밤새읽는 물리이야기


물리하면 생각나는 것이 무엇인가? 어려운 과학. 공식만 가득한 수학 비슷한 다른 과목.


나는 물리라고 하면 수학보다는 실생활에 가까운 학문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리고, 물리에 미쳐서 대학의 물리학과에 진학한 친구도 생각이 난다. 물리가 왜 좋냐고 물으면 모든 물체의 운동역학을 수학처럼 이론화할 수 있어 재밌다고 이야기한다. 그래서 그 친구는 물리엔진이란 이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그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냐고 물으면 컴퓨터로 당구 시뮬레이션이나 자연현상(기상현상) 추측, 게임 속 액션의 사실적 묘사등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러고 보면 한때 너무너무 재밌게 보았던 맥가이버도 화학과 물리학을 전공한 사람이다. 이론적인 학문을 현실 속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작품(?)이란 생각을 많이 했었다. 심지어 프리즌브레이크(미드)는 건축학(수학과 물리학도 포함)을 이용하여 감옥에서 탈출하는 내용이니 맥락이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 참, 수학을 내용의 기본으로 하는 미국 드라마도 있으니 이러한 시도는 계속될 것 같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할까? 사실 나 또한 대학진학 때 물리학과를 고민한 적이 있다. 순수학문을 깊이 연구하면 뭔가 심오한 진리를 깨달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현실은 그런 학문을 해서 기쁨을 누리는 사람은 매우 적은 것 같다. 그저 자기만족 수준인 경우가 많다. 아니면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가 이내 사기꾼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공통된 것은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은 마음이다. 이 책을 쓴 저자도 자신이 좋아하는 과학, 특히 물리학에 대해서 학생들과 친구, 독자들과 나누고 싶은 마음에 글을 썼다. 자신이 가장 존경한 과학 역사속의 패러데이를 책의 말미에 이야기한다. 수학은 약했지만 직관력과 노력을 통해 물리학 역사상 많은 업적을 남긴 패러데이를 생각하며 그러한 노력을 저자도 하고 싶다는 맺음말이다.


아마도 내 친구 또한 몇년 후에 자신이 만든 물리엔진을 이용한 업적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을 지 모르겠다. 그 친구는 그런 바램이 너무 커서 대학재학 중에도 수시로 밤을 새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하곤 했다. 영화속 가능의 캐릭터들이 이 친구가 만든 엔진을 통해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모습들이 재현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이 책 속에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과서에 나오는 많은 이야기들을 재미나게 설명한다. 마치 교실에서 재미없어 졸고 있는 아이들에게 호기심을 불러낼 만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런 느낌마저 든다. 저자는 과학교사로 교육의 방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현대 역사에서 과학이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그런 과학을 통해 앞으로 얼마나 편리하고 다양한 시도들이 있을 수 있는지도 항상 기대하는 모습이다.


피사의 사탑에서 추를 떨어뜨린 시험은 사실 갈릴레이가 아니었단 역사적 후문도 이야기한다. 갈릴레이의 제자가 스승을 더욱 드라마틱하게 만들고 싶어 다른 사람의 연구결과를 그의 회고록에 넣었다는 것이다. 또한 액체에 고체를 넣으면 대부분 가라앉는데 왜 얼음은 물에 넣으면 뜨는지 등의 생활속 당연시하던 비상식을 재미나게 설명하는 부분에서 이 책의 가치를 많이 느끼게 된다.


천천히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은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