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생활 속에 스며들다 - 건축 커뮤니케이터 조원용 건축사가 들려주는 쉽고 재미있는 생활 속 건축이야기
조원용 지음 / 씽크스마트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 생활 속에 스며들다.


이쁜 건물을 보면 가슴이 설렙니다. 저 건물은 누가 지었을까? 어떻게 저런 구조를 생각했을까? 저기에 사는 사람은 매일매일이 즐겁겠지? 등등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


예전에 건축과를 다니던 친구가 있었습니다. 어쩌다 연락이 끊어졌지만, 한때는 매일 많나서 이야기 꽃을 피웠는데... 그 친구 말이 생각 나네요. ‘술먹고 화장실이 급하면 일단 계단 쪽이나 건물의 양 끝으로 가면 분명 화장실이 있어’라고 말입니다. 그때는 그 말이 당연하다고만 생각했는데, 이 책을 보면서 당연하기 보다는 그렇게 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편하고 구조상 공간 절약을 위해서도 그렇게 하게 된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아 참, 이 책을 소개하려다 이 글의 끝에나 쓸 만한 내용을 미리 적어 버린 것 같네요.


건축, 생활 속에 스며들다. 이 책의 저자님은 확실히 남다른 철학이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이란 건물을 짓는 것인데, 그 건물이란 것이 이러이러하다. 뭐 이런 식으로 책이 전개 됩니다. 건물에 대한 정의가 책의 서두로 시작됩니다.


건물이 오래전의 원시인 동굴과 다른 점이라든가 뾰족한 탑이나 기념비와는 다른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마디로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차이가 됩니다. 바로 사람이 살기 위한 공간으로 이 책 속에 건물들은 저마다 다른 느낌과 표정들을 갖고 있습니다. 마치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대신하고 건축한 건축사의 철학을 그대로 표현합니다. 멋만 부리는 그런 조형물이 결코 아닙니다. 튼튼한 바닥 공사에서 부터 주변 경관과의 조화, 채광, 사람들의 동선, 주차까지 고려합니다. 물론 건축비도 영향을 받습니다. 좁은 공간도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 단순히 먹고 자는 공간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행복해 지는 공간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런 마법같은 이야기들이 이 책 속에 나옵니다. 오랜 전통 한옥의 멋과 그 집의 역사만큼이나 건축의 철학이 이 책 속에 소개 됩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도심에서 가볼 곳이 없다거나 아이와 단둘이 거닐 곳이 없다는 푸념은 사라지기 충분합니다. 당장이라도 색다른 멋진 건물을 찾아 사진기를 들고 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뭔가 다른 그 건물만의 특징 찾기를 아이와 함께 직소 퍼즐을 하거나 월리를 찾는 그런 기분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활 속에서 즐겨 사용하는 베란다, 발코니, 필로티 등의 정확한 설명도 이 책에 나옵니다. 도심의 아파트는 발코니만 있습니다. 윗 층 발코니는 아랫 층 발코니의 덥개가 됩니다. 이 경우만이 발코니입니다. 베란다는 덥개가 없습니다. 계단식으로 비스듬히 지어진 건물의 창밖 공간이 베란다가 됩니다.


잘 지어진 건물은 사람을 살립니다. 반면에 철학 없이 주변 환경과 상관없이 지어진 건물은 사람을 병들게 합니다. 해와 주변 산의 방향을 고려하여 지으면 채광도 좋아지만 여름에 더위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고려 없이 지어진 건물은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게 됩니다. 또한 결로 현상으로 곰팡이도 필 수 있습니다. 집은 단순히 성이나 방호물처럼 적이나 외부의 자연재해를 피하는 공간 그 이상의 것입니다.


이 책을 보면서 나도 언젠가는 아파트를 벗어나 배산임수 격인 명당 자리에 자연과 조화되는 멋진 공간을 지어보고 싶은 꿈을 꾸게 된다. 그때까지 안목을 키워 볼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