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튜이션 - 40년간 연구한 인지과학 보고서
게리 클라인 지음, 이유진 옮김, 장영재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인튜이션

 

직관력.(이성보다 더 이성적인 직관의 힘), 40년간 연구한 인지과학 보고서

 

이 책의 표지에는 이런 글들이 등장한다. 인튜이션(직관력)은 무엇일까? 우리말을 그대로 풀어보면 바로 볼 수 있는 능력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좀더 다르게 표현해 보자. 복잡한 문제를 쉽게 이해하는 힘? 가려진 많은 것들을 걷어내고 본질만 볼 수 있는 힘? 뭐 이렇게 해석할 수 있을까? 하지만 무엇보다 직관력이란 말을 들었을 때 내게 가장 먼저 연상되는 것은 경력, 연륜, 경험 등이다. , 직관력은 오랫동안 남다른 노력과 경험의 결실로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초두에는 이성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불가사의한 사건,사고들을 통해 당사자들이 초능력으로 이해하는 것들에 대해서 상식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불길이 잡히지 않는 화재 현장에서 아무리 물을 부어도 꺼지지 않는 상화에서 소방관의 리더는 화재 현장을 신속히 탈출할 것을 명령한다. 그후 그 건물의 바닥은 아래로 수몰되는 상황이 되었고 리더는 자신의 판단이 초능력으로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집필한 저자는 당시 오랜 현장 경험을 지닌 리더가 워낙 다급한 상황이었지만 불의 발화점이 지상이 아닌 지하임을 직감했다는 설명을 통해 초능력이 아닌 직관력의 힘임을 강조한다. 즉 이 책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얼마나 이성적이고 연구의 가치가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오랜 기간 이 직관력을 연구한 인지과학 보고서를 열어 보여주게 된다.

 

책은 한 동안 과거의 사건, 사고들을 통해 다양한 인지과학의 분석 시도들을 소개한다. 직관력이란 초고속 판단, 해석 능력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매우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결과를 도출하는지도 설명한다. 하지만 데이터의 결핍이나 급박한 상황과 현장의 스트레스로 인해 심각한 오판을 유도하는 현실도 가감 없이 설명한다. 그 일례로 이라크 전쟁 당시 민항기를 격추시킨 연합군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와 반대로 이라크 공군의 장난 같은 도발을 가볍게 넘겨 주는 성공적인 사례도 등장한다. 그러한 판단은 짧게는 30, 길게는 3분도 안걸리는 신속한 판단을 요구한다. 당신이 항공모함의 책임자이거나 전쟁터의 최고 사령관이라면 이러한 판단에 대해 머뭇거리지 않을 수 있을까? 모든 교전수칙을 감안하여도 한치의 의구심이 생기지 않을 수 있을까?

 

전문가란 무엇일까? 바로 이러한 직관력이 풍부한, 과거 경험을 통해 탁월한 판단력을 소유한 사람을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는 과거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하였을까? 시행착오 없이 지금까지 올 수 있었을까?

 

이 책은 그러한 의문들에 매우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답을 제공한다. 다양한 과거 사례와 실증 자료들을 통해 실패한 사례와 성공한 사례를 통해 당신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