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교수님이 알려주는 공부법
나이절 워버턴 지음, 박수철 옮김 / 지와사랑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교수님이 알려주는 공부법

 

[원제] PHILOSOPHY : The Essential Study Guide

 

저자는 영국의 철학교수이다. 이 책의 제목이 잘 번역된 것일까? 일단 읽어보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제목이어야 책이 잘 팔릴 수 있을 것 같다. 겨우 100여 페이지 되는 철학 관련 책이라면 누가 책을 사겠는가? 정작 철학과 관련한 학습법을 알려주지 철학사나 유명한 철학자의 이론을 알려 주지 않는다. 저자는 그런 것에 앞서 제대로 철학을 공부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교수의 사고를 따라 원제목을 2가지로 해석해 볼 수 있다. “:” 부호를 “=” 동일하단 의미로 해석하여 <철학은 기본적인 학습 안내용 학문이다>로 한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두 번째는 “:” 을 하위 소속을 표현하는 기호로 하여 <철학을 위한 기본적인 학습 안내서>라고 해석이 가능하다. 나로서는 두 번째 해석이 옳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몽땅 읽고 나서 되짚어 보면 첫번째 해석이 적절할 수도 있다. 왜냐면 나처럼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이 책은 매우 유용하고 그 오랜 세월 사라질듯한 이 학문이 아직까지 살아온 이유도 모든 학문의 기본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학문의 역할을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긴 소리 그만두고 짧고 간단하게 100여 페이지 책의 내용을 1~2장으로 이야기 해 보겠다. 저자는 철학은 관람용 스포츠카가 아니라며 머리말을 시작한다. 바꿔 말하면 보지만 말고 직접 타고 즐겨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4가지 기본적인 학습 습관을 기르라고 한다. 첫째, 적극적으로 읽는다. 모든 글(여기에서는 철학서를 기본으로 한다.)을 비판적으로 왜,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고민하며 읽으라고 한다. 줄을 긋는 것도 좋다. 오랜 시간이 지나 단 한 구절이라도 생각이 난다면 분명 이런 습관을 갖고 읽은 것이다. 둘째, 적극적으로 듣기이다. 물론 철학 강의가 되겠다. 다른 강의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것이 출판사의 의도이다. (저자의 의도는 아니다. 저자는 먼 한국에서 이 책이 읽혀진다는 사실에 꽤 놀라움과 감동을 받을 지도 모르겠다. 심지어 중,고등학생들이 읽는 줄 안다면 국내에 들어와 왜 그럴까 시장조사를 할지 모를 일이다.) 저자는 매우 강의 경험이 풍부한 것 같다. 잘 모르고 예습도 없이 수업을 듣게 될 경우 기억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뭔가 비판적으로 왜 저란 이야기를 할까하며 공격적으로 들을 것을 주장한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머리에 남게 된다고 한다. 그것이 남과 다른 철학자가 되는 길이라고 말한다. 셋째 습과은 적극적으로 토론하기이다. 오랜 옛날 아테네 학당에서처럼 남들과 자기 주장을 두고, 선생이나 이전 철학자의 이론을 두고 논쟁하는 것이다. 그렇게 오늘날 유명해진 철학자가 많이 있다. 스승의 생각을 뛰어 넘은 사람들이다. 스승의 이론을 반박하고 따진 사람들이다. 이러한 토론을 위해 질문하고 간단히 말하는 습관을 기를 것을 당부한다. 마지막 넷째는 적극적으로 글쓰기이다. 이 부분에 책의 절반을 할애하였다. 논술에 관심이 많은 중,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유익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된다.

 

, 이 책에 대해서 간단히 이야기해 보았다. 하지만 이 책은 저자의 말씀처럼 읽고 토론하고 정리해 보지 않으면 분명 기억에 남는 것이 없을 책이다. 왜냐면 어디선가 들어본 내용들과 상당히 유사하면서 일부는 다르다. 그러니 왜 이런 이야기를 했고 무엇이 저자의 의도인지를 따지지 않으면 남는 것이 없게 된다. 제대로 저자의 요구대로 반응하여 읽는다면 결코 짧거나 단순한 책이 아닐 것이다. 일독을 권한다. 천천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