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수학 노트 - 머리만 좋은 아들을 수능 수학 1등급으로 만든
민병갑 지음 / 예담Friend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아빠의 수학 노트

 

이 책의 제목만 보았을 때는 아빠가 학창시절에 정리한 수학 노트인가 하는 막연한 생각을 했다. 하지만 머리만 좋은 아들을 수능 수학 1등급으로 만든이란 수식어가 있어 책의 내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책 표지 하단의 아들아, 이 노트는 혼자만 봐라에서 나는 이 책을 단순한 공식 정리 노트는 아닐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되었다. 과연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그림이 무지 많이 나오겠지 등등의 상상도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그런 나의 상상은 완전히 무너져 버렸다. 이 책의 어디에도 그 흔한 수학책 단골 그림들이 보이질 않았다. 공식이나 예제 풀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처음 몇 페이지를 보면서 느낀 점은 수학 책보다는 철학책 같은 느낌이 들었다. 시종일관 라는 질문을 제기하고 조금은 길고 친절한 원론 해석이 시작되었다.

 

정체를 금방 파악할 수 없는 이 책을 깊이 느껴보기 위해 열심히 보기 시작했다. 저자는 해외 파견 근무를 하게 되면서 아이들이 외국과 우리나라를 오가게 되어 국내 교육 방식에 적응하지 못했다고 한다. 특히 수학에 어려움이 있어 동네 학원들을 돌아 다니면서 적합한 곳을 찾아 보았다고 한다. 그러던 중에 대부분의 학원들이 단기 속성, 선수학습들을 목표로 원리 이해는 뒷전이고 그저 공식암기와 요령터득에 열중하는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학창시절 좋아했던 수학에 대한 열의를 다시금 아이들과 나누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가 아이들에게 한결같이 알려주려 한 것은 란 질문을 통해 수학의 여러 부분들간 상호연관성을 이해하는 방법 자체였다. (공식암기와 문제풀이는 결코 관심도 없었다고 한다.) 중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은 과정과 단원 배치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수의 범위가 다르다. 중학교에서 정수와 실수로 국한된 것이 고등학교에서는 허수까지 포함하여 확장된다. 저자의 설명 중 왜 집합이 가장 먼저 나오냐에 대한 답으로 수학문제 풀이를 위해서 우선 문제의 정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제의 정의역(도메인)과 직결된 집합이 가장 먼저 나왔다는 설명이 있다. 이렇듯 아빠의 친절한 설명은 마치 20~30년 전의 친절하신 수학선생님과 같은 느낌을 주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인해 어떤 선생님은 공식과 문제풀이에만 집중했지만 그래도 그 시절에는 저자와 같은 선생님이 꽤 있었다고 믿는다. 지금은 특히 사교육으로 인해 더욱 그런 선생님을 만날 기회가 없어진 것 같다.

 

이 책은 따뜻한 아빠의 마음이 담겨져 더욱 친절한 수학 원리설명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 우선 국어를 잘해야 한다는 말이 특히 생각나는 책이다. 이 좋은 책을 보면서 감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어를 잘해야 한다. 160여 페이지의 책이지만 책 읽기가 두려운 학생들에게는 꽤 부담되는 내용일 수 있다. 그만큼 공식이나 그림, 문제풀이 예제는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저 아빠의 친절한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국어 실력이 필요한 매우 색다른 수학 책이 아닐까 싶다. 자녀에게 이 책을 그저 던져 주지 말고 함께 꼭 읽기를 권한다. 분명 자녀도 부모의 노력에 더욱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