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지음, 정명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남자가 바다를 건너는 배에 타기 위해 돈을 모은다.
마침내 뱃삯을 치르고 배에 오른다.
그는 배에서 제일 아래칸으로 가서 자리를 잡는다.
짐칸 바로 옆에 있는 그 자리는 침대도 없고 조명도 없다.
하지만 그는 배에 올랐다는 사실만으로 기뻐하며 배를 구경하기 시작한다.

그 배에는 무도회장도 있고, 커다란 식당도 있고, 편안하게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카페도 있다. 그 모든 것을 그는 복도에서 창문을 통해 구경만 할 뿐이다.

"
, 저 사람들은 참 좋겠구나. 저렇게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표는 엄청 비싸겠지. 다음엔 나도 부자가 되어서 저렇게 멋진 여행을 할 수 있는 표를 사야지
!"

배가 목적지에 도착하기 직전에 그는 비로서 알게 된다. 뱃머리에서 만나 사랑을 느끼고 흠모하게 된 그녀를 통해서, 그가 치른 뱃삯에 배의 모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듣는 것이다. 항구에 배가 닿는 그 순간에 말이다!』


'성격대로 하자면 이 이야기를 읽은 책을 찾아내서 정확하게 인용을 하고 리뷰를 써나가야 직성이 풀리겠지만지금은 내 직성 푸는 것보다 이 책의 가치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리뷰를 쓰는 일이 더 우선이다. 그러니 그냥 아쉬운대로 Go Go!' 




어떤 책에선가 위와 같은 내용의 이야기를 읽고 제일 먼저 들었던 생각은,
'내가 만일 그 남자 입장이라면 차라리 끝까지 그 사실을 모른 채 배에서 내렸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보니, 언제라도 그 사실을 알게 된 것만으로 그 남자에게는 새로운 출발선이 생기는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되었다. 비록 자신의 지레짐작으로 허락된 많은 것을 누리지 못한 아쉬움을 안은 채 배에서 내려야 하는 남자의 처지가 안타깝지만, 그렇다고 그 남자의 인생이 거기서 끝난 건 아니니까 말이다

배 구경을 하던 남자처럼, '독서'의 세계에 들어와서 이리 저리 구경을 다니던 나에게 《독서의 역사》는 말한다.

"
당신에게는, 당신이 구경만 하고 있는 그 모든 것들을
직접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 라고.

그런 의미에서 지은이 알베르토 망구엘은, 위 이야기 속 '그 남자'가 배에서 만나 사랑에 빠진 '그녀'와 같다. '그 남자' '그녀'는 같이 배에서 내린다. 이후에 그들이 서로 사랑에 빠져 가정을 이루었을 지, 아니면, 배에서 내리자마자 각자의 갈 길을 갔을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 각자의 인생 길을 걸었으리라는 점이다.

《독서의 역사》는 계속된다. 
나는 한동안(다른 대상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알베르토 망구엘을 흠모하며 지낼 것이고

《독서의 역사》가 나에게 속삭여준 가장 소중한 비밀은,
'
언제라도 내가 다시 책을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이며,
알베르토 망구엘이 말했듯,
"
그러므로 나는 외롭지 않다."(12p.)

* 책의 장점;

1. 재미있다.
(지은이 알베르토 망구엘은, 각 챕터마다 유명인사(예를 들면, 아리스토텔레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우구스티누스, 카프카, 콜레트, 휘트먼, 찰스 디킨스, 라이너 마리아 릴케, 헤밍웨이, 알베르토 망구엘 등등..)들을 주요 인물로 등장시켜 흥미롭게 이야기를 엮어 놓았다. 어느 것 하나 놓치고 싶지 않은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2. 스스로 뿌듯하다.
('독서가'로서 나 자신의 가치가 높아진다. 아주 기분이 좋다. 그동안, 독서를 하지 않을 수 없으면서도, 한편 독서를 그저 취미생활 쯤으로 여기는 가족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항상 떳떳하지 못했는데, 《독서의 역사》를 읽고 난 지금,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을 알았다.)


* 책의 단점; 환청이 들린다. (다 읽지 못한 채 방바닥에 쌓아둔 책들이 저마다 '날 봐 날 봐 미영!' 노래를 부른다. ㅜㅜ)



* 인상깊은 구절 

학교에서 가르치는 문학은 나 혼자만의 왜곡된 독서 여정에서 터득한 깨달음과 서가 크기만으로 문학 세계를 구축하겠다는 야심만큼이나 독단적이거나 아니면 별다른 의미가 없는 선택이다. 교과서나 기타 책자, 공공 도서관에서 신성시된 문학사는 내 경우에는 독서의 역사의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그 문학사는 비록 나의 문학사보다 역사가 더 깊고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만 우연이나 상황에 좌우되기는 마찬가지이다.(38p.)

언젠가 보르헤스가 내게 말하기를, 1950년에 페론 정권이 반대파 지식인들을 겨냥해 조직한 어느 인민주의자 시위에서 시위대들이 "구두를 다오! 책은 싫다!"라고 외쳤다고 한다. 이에 "구두도 주고, 책도 주마!" 라고 응수했지만 아무도 확신시키지 못했다. 거칠고 궁핍한 사회 현실은 도피적인 책이 주는 상상 속의 세계와는 타협이 불가능할 만큼 상충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런 실제적인 예를 볼 때 삶과 독서 사이의 인위적인 이분법은 권력을 쥔 사람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조장된다. 인민의 통치 집단도 피지배자의 망각을 요구하기 때문에 책을 쓰잘데없는 사치라고 낙인찍는다. 반면 전체주의 통치 집단은 국민들에게 사고하지 말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책을 금지시키고, 위협하고, 검열한다. 어느 면에서 보면 인민 통치 집단이든 전체주의 통치 집단이든 국민 모두가 어리석은 존재로 남을 것을, 그리고 국민들이 자신들의 퇴행을 순순히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알맹이와 가치가 없는 것들을 소비하도록 부추긴다.(39~40p.)
(지금 책을 금지시키고, 위협하고, 검열하는 시대는 아니다. 하지만 상황이 더 좋아진 것일까? 책을 금지시키고, 위협하고, 검열하는 시대는 차라리 낫다. 적어도 그 시대에 상대는 '구체적이고 눈에 보이는' 실체니까. 지금은 훨씬 교묘하고 혼란스럽다. 소비해야할 쓰레기, '알맹이와 가치가 없는 것들'이 너무나 너무나, 너무나도 많지 않은가!)


*인상깊은 구절 계속 이어지는데,
지금은 타이핑 할 시간이 없어서 우선 여기까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