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과 생태적 어버니즘

하나의 분야(discipline)로서 도시설계가 형성되기 전에 하버드대학에서 논의가 있었듯이 1997년 시카고의 일리노이대학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landscape urbanism)‘이라는 새로운 이즘(ism)이 공표되었다.

이것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의 조경학과 교수인 찰스 왈드하임(Charles Waldheim)이 만든 신조어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조경학과 교수인 제임스 코너(James Corner)에 의하면 이새로운 사고와 행동방식‘은 "전통적인 도시설계와 계획이현대 도시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에 필요해졌다. 이 실패했다는 느낌은 미국의 도시들이 계속해서수평적으로 무질서하게 뻗어나간 방식에 대한 숙고, 개발도상국에서 거대도시가 증가하는 놀라운 속도, 그리고 옛 공업도시에서 한때 그 도시의 생명줄이었던 사업들이 문을 닫거나 이전하면서 공동화되는 새로운 현상에서 파생된 듯하다.

이러한 과정의 사례로 디트로이트를 들 수 있는데 이곳은 더이상 ‘자동차의 도시‘가 아니다. 이제 이곳의 도시 경관은 버려진 공장과 폐허가 된 거대한 호텔의 이미지로 대표된다.
- P203

이러한 모든 상황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스트는 도시설계가는 무력하며, 도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그곳의 경관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을 개념화하는 한 가지 방법은
도시의 기본 단위(basic block)로서의 건물에서
모든 것을 한데로 묶는 접작체 혹은 매개체(medium)로서의 경관으로 관심의 초점이 이동했다고 말하는 것이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스트들은 도시설계가 등장한 방식과 같이 새로운 직군의 형성을 제안하지 않고 조경, 토목공학, 도시계획, 건축과 같은 업역의 개념적 영역이 통합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의 석사과정 프로그램이 북미의 여러 대학과 런던의 AA스쿨에 생겨났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이 얼마나 혁신적일 수 있는지, 그리고 조경의 전통에서 오랫동안 활용되어온 아이디어를 어느 정도로 수정할 수 있는지애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의 원칙 중 하나는 경관이 어떻게작동하는지, 즉 이것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그것이 어떻게 보이는지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린 인스트럭처 계획 옹호자들이 표명하는 개념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기능에 대한 관심은 조경이 시작되었던 바로 그때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와 그의 후계자들의 작업에서도 나타난 개념이다. - P204

 랜드스케이프어버니스트들도 동의하겠지만 그들이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의 전통에서 논쟁적으로 문제삼는 부분은 도시 안의 시골(rus inurbe)의 옹호, 도시 속에 낭만화된 자연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기껏해야 무관한 것으로, 최악의 경우 위장이나 기만의 일종으로 거부당했다. 이들은 더 나아가 우리가 한 손에는경관을, 다른 손에는 도시를 놓고 이야기하는 방식은 ‘차이와대립이라는 19세기적 렌즈‘에 좌우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우리가 도시와 시골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주장하고 싶어한다. 이들은 도시의 발자국이 우리가 전통적으로 시골이라고 부르는 곳까지 뻗어나갔고, 시골은 먹거리, 식수, 에너지 등 도시에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조직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기 바란다.

이와 동시에 산업의 쇠퇴로 인해 생겨난 도시 내의 공터나 인프라스트럭처의 필수 항목과 관련된 지역이 생태천이 같은 자연적 과정에 개방되어 있다. 해체(Deconstruction)가 문학적·철학적 운동으로 출현한 이후 학계에서는 이분법적 대립을 공격하는 것이 유행했다. 하지만 나는 이것을 포함한 많은 이분법은 매우 유용하며, 또 시골과도시의 구분을 없애면 스프롤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고 도시근교의 문화경관을 위험에 빠뜨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때때로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의 레토릭은 ‘흐름에 따라가기(going with the flow)‘를 선호한다. - P205

이것은 우리의 도시가 극단적으로 탈중심화되고, 리좀(rhizome)같은 네트워크를 이루며, 경관 전체에 널리 퍼진다는 의미임에도 말이다. 하지만 이것은 영국에서 계획법으로 이어진 ‘대상 개발‘과 도시 확장을 억제하기 위한 그린벨트에 대한 우려이다. 걷잡을 수 없는 자본주의와 통제되지 않는 스프롤이 세력을 떨칠 필요는 없다. 때로 좋은 도시계획은 방향을 바꾸거나, 속도를 늦추거나 혹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는 큰 이점이 있는 아이디어도 많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스트들은 대상지와 도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제임스 코너는 ‘행동을 위한 무대(stages for action)‘ 또는 ‘행위를 위한 무대(stages for performances)‘의 준비를 강조하는데, 이것은 버려진 건물의 정리 같은 물리적인 작업 혹은 작업이 어느 정도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소유자가 다양한 토지의 조각을 모으거나, 자금을 조달하거나, 여러 가지 허가를 얻는 등의 보다 추상적인 활동을 지칭할 정도로 모호하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스즘은 고정된 마스터플랜 대신 유연한 불확실성을 극찬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스트들은 디트로이트의 빈 땅에 생겨난 도시 정원 가꾸기와 농업에 찬사를 보내는 글을 작성했다. - P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