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대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콜레라 시대의 사랑》 중 한 부분을 훔쳐 보자. 다음 문단은 단지 하나의 방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인물에 대한 통찰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전형적인 예다. 여기서 후베날 우르비노 박사는 방금 자살한, 자신의 좋은 친구이자 체스 파트너였던 사진작가 제레미아 드 생타무르의 방을 조사한다.

방 안에는 공원에서 쓰인 듯한 바퀴 달린 커다란 카메라와, 집에서 만든 페인트로 칠한 바닷가의 석양이 그려진 배경이 놓여 있고, 벽에는 중요한 순간들이 담긴 아이들의 사진들이 붙어 있었다. 첫 성찬식 때 사진, 토끼 옷을 입고 찍은 사진, 생일 파티 사진. 체스를 두다 생각에 잠겨 멈춰 있던 오후마다, 우르비노 박사는 해가 지날수록 벽을 덮은 사진이 늘어가는 것을 바라보았었다. 일상적인 그 사진들은 미래의 도시의 씨앗이었다. 이 모르는 아이들에 의해 다스려지고 또 부패할, 그의 영광이라곤 재조차 남아 있지 않을 그곳. 종종 그런 생각을 할 때면 그는 슬픔으로 몸서리쳤다.

이 짧은 단락은 이야기의 배경과 우르비노 박사의 세계관을 드러내 보여줄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씨름하는 보편적 인간 조건을 멋지게 요약해준다. 마치 우리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언젠가 세계도 우리 없이 계속될 거라는 사실을 말이다. 이것은 우리가 이야기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적어도 커다란 돌 위에 “왔다 감”이라고 스프레이로 써놓는 것보단 훨씬 낫다.(199쪽)



이야기를 쓰는 이유?
‘이야기는 삶의 도구‘라는 말을 곱씹어 생각한다. 학생이었을 때도 분식점 벽에 ˝왔다 감˝ 낙서 한 번 해본 적 없으면서 새삼 이야기를 쓰겠다니 대체 무슨 이야기. 할 말이 없어서 답답했는데 이야기를 써서(도구 삼아) 이 세상에서 살아갈 이유를 얻는다면 와이낫?
진짜 말 그대로 와.이.낫

내가 나에게 들려줄 이야기 하나
와이낫

주인공은 나
나 아니면 안되는 이야기 하나
와이낫

주인공은 주인공으로서 해야할 일이 있다.
와이낫

이야기 속에서
이야기 속으로

이야기 바깥에서
이야기 속으로

왔다 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