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당하고 싶은 사람이 어딨겠나.
ㅡ그럼 왜 그리 당하는 사람이 많아요?

그야..
사기치는 사람이 있으니까 당하는 사람도 있는 것인데,
말하자면,
당하기 싫으면 상대하지를 말아야 하고,
안 만나려면 피해야하고,
피하려면 항상 살펴야 하고,
멀리서도 사기꾼을 알아봐야 한다.
이게 보통 성가신 일이 아니다.
애초에 사기꾼이 다니지 않는 길로 다니는 방법이 제일 속편한데, 처음엔 좀 심심하거나 쓸쓸한 기분이 들기도 하지만 자꾸 다니다보면 그 길에도 사람들이 곧잘 지나다닌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거기서 만난 또 한 사람,
80% 공감하며 읽은 책,
유튜버 신사임당 주언규의 《KEEP GOING》



***딸려온 손수건은 100% 마음에 듦.






사기꾼들이 던지는 밑밥은 인간의 마음 속 욕심을 자극한다. 그 밑밥들은 일견 그럴듯해 보인다. 예를 들어 나 같은 사람이 수익 모델을 보여주면서 일정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그 정보를 자신이 직접 찾아낸 것처럼 느낀다. 더구나 그 정보를 제공한 사람, 즉 사기를 치려고 하는 사람을 만만하게 생각한다. 그 사람이 알려준 수익구조를 자신이 쉽게 가져올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기꾼은 더 이상 사기를 칠 필요가 없다. 제 발로 걸려들기 깨문이다.
이런 밑밥 속에 바늘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일수록 사기에 걸리기 쉽다. 계약서를 유리하게 작성하면 바늘을 제거하고 밑밥만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기꾼들은 상대에게 100% 유리한 계약서를 제시하더라도 모두 받아들인다. 하지만 애초에 법을 어기려고 작정한 사람에게 계약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우리의 사고 범위가 법 테두리 안이라면 사기꾼의 사고 범위는 법 밖에 있다. 우리가 무슨 짓을 해도 밑밥 속의 바늘을 제거할 수 없다.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