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나한테 읽어보라더니 넌 아직 안 읽있어?
ㅡ읽다가 자꾸 너무 화가 나서 얼마 못 읽고 그래서.
ㅡ으이그. 그렇게 사는 사람도 있는데 읽지도 못하다니 그게 말이 되냐?
ㅡ나도 알아. 오늘 다 읽을 거야.
ㅡ나 먼저 잔다.

(이제 2권 읽었으니까, 딴 건 몰라도 어디가서 책 제목을 골든타임이라고 말하지는 말어야지..)






뉴스에서는 시종일관 골든타임(Golden Time) 내에 승객을구조해야 한다고 떠들었다. 배가 뒤집어진 원인은 아무도 알지 못했고, 알 수 없는 이유로 배가 가라앉았으며, 구조되어야 할 사람들이 산채로 수장되어 죽어가고 있는데 골든타임을 말하며 ‘적극적인 구조‘를 논하고 있었다. 짜증이 치솟았다. 모든 것은 몇 년 전TV 드라마 때문일 것이다. 당시에 자문받으러 온 제작진에게 드라마 제목을 골든아워(Golden Hour)라고 해야 한다고 거듭 말했는데도 제작진은 골든타임을 고집했다. 두 단어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졌고, 어느 쪽으로도 치환하여 사용 가능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왜 그 틀린 단어를 제목으로 써 붙여 전국적으로 유행하다 못해 뉴스에서마저 반복하는지 화가 솟았다.(86p.)


* [골든타임] 방송에서 하루 중에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대, 또는 일정한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고유 업무에 몰두하게 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향상을 꾀하는 노동시간 관리법을 뜻한다.


현장 상황은 예상과 같았다. 정경원 일행이 할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정경원은 실질적인 해상 구조 활동은 이미 종료된 시점이었는데 그놈의 골든타임 타령만 가득 메아리쳤다고 전했다. 나는용어조차 잘못 쓰고 있는 사람들이, 선박 침몰 시 여객을 구해내기위해 승부를 걸어야 하는 골든아워가 언제까지인지 알기는 하는지 알 수 없었다.(8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