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정 - 정명공주와 광해군의 정치 기술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자는 광해군을 왕으로 인정 받지 못한 존재라고 치부하고 그렇게 역사가들 역시 그러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었음을 부인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가 애초애 왕이될 자격이 없었던것은 아닐터 그의 성정이 왕으로서의 위엄을 갖추기가

힘들었었는지는 나로서는 알 수 없으나 역사적 사료들을 확인해 볼때 광해군은 왕으로서의 위엄을 갖춘 현군의 모양새를 보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역사에 만약이라는 말은 존재치 않는다는 말이 있지만 역사의 흐름을 결정 짖는 순간순만 마다의

시기에 만약 그러하지 아니하고 또다른 선택이나 상황으로의 반전이 일어 났다면 우리는 지금

어떠한 삶을 살고 어쩌면 '나'의 존재는 이땅에 업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기에 무척이나 섬뜩​한 말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귀가 얇기도 하며 변덕이 죽끓듯한 왕으로 선조를 생각하면 아마도 어김없이 들어 맞을듯 싶다.

아버지의 역할은 그 아들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기에 광해군은 그러한 선조의 영향

아래서 어쩌면 가장 막대한 피해를 입고 상처를 받은 존재인지도 모른다.

광해군이 선조의 영향아래서 성장하며 왕위를 계승하기까지 수 많은 양위론에 몸둘바를 몰라하고 조정의 대신들과 권신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백성들의 도탄에 빠진 삶을 나몰라라 하는 등 붕당의 정치판으로 국가의 정상적인 기능을 마비시키는 총체적 불능의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그러하기에 일본의 침략, 임진왜란에 대한 시각조차 붕당의 흑막에 가려 진실을 파헤치지 못하고

나라를 버리고 명나라로 도피해야하는 상황으로까지 치달은 선조의 치졸함은 광해의 눈에 어떤

군왕의 모습으로 비춰졌을지 불을 보듯 뻔하다.

군왕의 몽진이 이루어지고 분조의 권한으로 광해가 임진왜란의 수습을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은 장차 광해가 선조의 뒤를 이어 자신의 형인 임해군을 제치고 군왕으로 등극하는데 모자람이

없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처럼 받아들이게 된다.

선조가 붕어한 후 광해는 왕이 되지만 늘상 보고 배운것이 도둑질이라고 광해 역시 대신들의 붕당 정치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음모의 조작등으로 피비린내 나는 숙청과 권력 쟁취의 나날을 보내게 되며 그 가운데 광해 역시 자신보다 어리지만 성장하고 있는 영창대군의 존재가 자신을 위협하는 존재임을 모를리는 없었을터 였지만 정작 영창대군을 죽음으로 내몬것은 권신들의 음모로 인한 결말이 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드라마와 책의 호흡이 얼마나 일치하고 그 깊은 뜻을 그려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명공주,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고 알 수 없었던 인물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하나 하나 알아가는

시간도 무척이나 재미있고 유익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역사속의 인물들이나 현실 속의 인물들이나 하나 다를게 없다는 사실을 절실하게 깨닫게 된다.


다시 역사에서 만약이 존재 했더라면 선조가 권신들의 중상모략과 자신들의 치부를 숨기기위한

붕당의 정치에 휘말리지 않고 자신이 올바른 중심을 잘 잡았더라면, 자신의 아들 광해에게 수차례 양위에 대한 언질을 하지 않고 한번으로 양위를 이루어 냈더라면, 양위론으로 권신들을 다스리는 방법을 택하지 않았더라면, 광해가 명나라의 승인을 받아 정상적인 왕위를 물려 받았더라면, 인목대비가 영창대군을 후계로 생각하지 않았더라면, 인목대비가 정명공주를 낳지 않고 아들을 낳았더라면 등등 무수히 많은 만약이 우리의 머리를 스쳐 지나간다.

그러한 만약의 사태가 한치의 어긋남이 없이 이루어 지지 않았기에 지금이라는 현실 속에 우리와

나라는 존재가 있음을 절감하게 되고 '화정(華政'-빛나는 다스림에 대한 정명공주의 실천적 화두를 떠올리며 오늘날 내부로부터의 다스림을 통해 관계에서 빚어지는 관용, 친절, 배려를 실천하는 인간관계론을 본 받게 된다.

역사를 통해 오늘을 새롭게 배우고 인식하는 우리가 되어야 한다.

또다시 지난날의 우매함을 그대로 재현해서는 안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역사속의 인물들은

소리없는 외침으로 우리를 일깨워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