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르트르를 만나다 - 구토 나는 세상, 혐오의 시대
백숭기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5년 4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누군가를 만난다는 일이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오가며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도 하다.
상상이랄 수 있는 것은 책을 통해 과거의 실존 인물을 만날 수 있는가 하면 현실의 인물들은 어떠한 계기를 통해 대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이기에 그러한 사실을 재미로 생각하면 두 부류 모두 재미를 만끽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현실과 상상을 구분해 놓고 생각한다면 어느 쪽이 더 흥미롭고 재미있고 가능성이나 한계 등이 없을까 생각해 보면 아무래도 상상쪽이 월등히 나은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연유로의 지난 인물이지만 실존주의 거장이라는 철학자 사르트르를 만날 수 있음은 매혹적이자 즐거운 시간이 아닐 수 없다 하겠다.
사르트르는 프랑스 철학자이자 소설가이기도 하다.
그에 의해 실존주의가 처음으로 명명되었고 우리 인간의 존재를 철학적 인간으로의 인간 존재론을 주장한 일은 아마도 인간의 인간다운 삶에 대한 되새김과 정의를 새로운 방향으로 정의하는 시발점으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그러한 인물로의 사르트르, 그에 대해 알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사르트르를 만나다" 는 인간의 절대 자유를 주장하며 자신의 결단과 의지, 선택에 따라 자신의 삶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한 사르트르의 철학적 사유와 그의 삶에 대해 이해해 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주는 책이다.
어쩌면 사르트르의 철학적 사유는 오늘을 사는 나, 우리의 삶과 생활에서 읽을 수 있는 모든 문제들의 핵심 근원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도 모른다.
바로 '어떻게 하면 나에게 더 충실할 수 있을까, 무엇이 시간의 폭력과 무의미에서 나를 건져낼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일은 형이상학적 철학이라기 보다 실존주의적 철학에 부합하는 명제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실체로의 명제에 대한 대답을 우리는 앙가주망에서 얻을 수 있다.
앙가주망은 인간이 사회, 정치 문제에 관계하고 참여하면서, 자유롭게 자기의 실존을 성취하는 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은 나, 우리를 상황적 세계에서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며 스스로를 해방시키고자 하는 자유에 대한 염원을 변화의 동력으로 삼는다.
그러한 앙가주망이 뿌리 내릴 수 있는 근거는 우리의 의식이라는 실존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오래전 인물인 사르트르와 살롱에서 만난다면 어떨껏 같은가?
지금의 나, 우리의 문제를 자유롭게 토로할 수 있을 것인지, 할 수 있다면 그의 실존주의에 대한 서사를 꺠달음으로 얻고 싶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존재양식을 설명해 준다.
양식에 대한 다양한 의미가 있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정하여진 방식으로의 양식을 의미하는 뜻은 존재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에 대한 지평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우리에게 자유롭기를 그만둘 자유가 없다는 다소 궤변적인 사유를 판단해 보면 존재의 양식으로의 의식이 없다면 그러한 사유에 대한 의미 있는 두뇌 활동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저자는 대담형식의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엮어 독자들에게 지루함을 줄이고 신선한 느낌을 주기 위한 배려를 해 놓았다.
사르트르에 대한, 실존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미있는 시간을 만끽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판단해 보며 소장의 가치를 더하는데 한몫 하는 책으로 남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