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관절 자세력 - 타고난 관절을 바로잡고 두뇌까지 책임지는 기적의 자세교정 33 인생백세 3
윤제필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몸이 먼저라고 하는 책을 본 적이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듯 하다.

몸이 먼저라는 생각을 진심으로 생각하고 있다면 이렇게 몸을 홀대하거나 방치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수 많은 사람들이 몸이 아파 병원을 찾는다.

병원을 가보면 알겠지만 그 상황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딱 하나다.

바로 '나는 이 곳에 있지 않아야 겠다' 는 생각이다.

병원을 찾는 모든 이들이 아프고 싶어서 아픈 이들은 없다.

모두들 보통의 삶을 살면서 몸이 먼저라는 생각을 하지 못해 얻은 병들 때문이라 생각하면 틀리지 않는다.

시간은 우리의 몸의 변화를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 나, 우리는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묻고 그에 따라 어떤 질병이 발병할 수 있는지에 대해 통찰적 사유를 제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초관절 자세력"는 우리가 신체를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 올바른 움직임을 위한 신체 자세를 갖지 못한다면 수 많은 통증과 병을 얻을 수 있음을 알려주며 올바른 신체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주는 책이다.

신체 자세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구나 노화를 마주하고 있는 노년층에게는 특히 관절염과 같은 특정 부분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다.

목, 허리, 무릎 등 전신 통증을 발생시키는 잘못된 자세는 우리의 일상적 생활을 고통으로 보내게 한다.

저자는 그러한 노년층의 신체 자세에 대해 자신의 연구와 치료 과정에서 얻은 노하우를 통해 바람직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우리 몸은 하나의 시스템이라는 저자의 생각이 옳다.

그러한 신체를 이해하고 부분적 치료가 아닌 전체적인 건강 관리의 중요성 차원에서 자세력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리지 않아도 우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해지기 위해 몸이 틀어지지 않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본다.


다양한 건강서적에서 주장하는 늘 하는 말들이 있다.

몸을 자주 움직이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숙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식습관을 바르게 해야 한다 등 다양한 주문들이 그저 허투루 나온 주장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한 주장들을 우리는 그저 스쳐 지나가는듯 한 소리로만 넘겨 버리고 만다.

저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신체 자세의 교정 방법과 습관 만들기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활용해 봄이 이 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마음속에 담아 자신을 변화시키는 주장이라 생각한다면 신체 자세로 인한 병의 발생을 미리 막을 수 있을 터인데 그러지 못하고 있음은 그러한 주장에 대해 관심도 두지 않고 있기에 그러하다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는 일이다.

그러한 주장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주장이라 누구나 그에 대해 터부시 할 수는 없다.

이러한 일반화된 주장들을 습관화 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과의 차이는 병으로 나타난다.

스스로 몸에 대한 지식을 쌓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나, 우리 자신의 신체 자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습관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선택, 활용해야 한다.

나쁜 자세는 고통이 되고 좋은 습관은 건강이 된다는 말을 명심하고 그대로 따를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 보길 권유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