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뇌를 믿지 마세요
최서희 옮김, 이케다 마사미 외 감수 / 영진.com(영진닷컴) / 2025년 4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의 뇌가 부정확하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알고 있다.
가득이나 뇌의 사용도 안하는 터에 뇌의 정확성도 부족하다니 그럼 뭐야, 인간은?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한 뇌의 특성을 알고 있어야 비로소 나, 우리의 인간으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불편한 부분들을 해소해 나갈 수 있다.
인지편향은 경험에 의한 비논리적 추론으로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을 말한다.
즉 경험이라는 주관성의 왜곡현상이라 말할 수 있고 보면 이러한 인지편향은 경험, 선입견, 관심사,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인지편향이 뇌가소성으로 고착화 된다면 우리는 불편한 고정관념에 휩 쌓이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우리의 일상과 생활에서 도움이 될 인지편향에 대한 이해와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당신의 뇌를 믿지 마세요" 는 현대 사회 인간의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편향으로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문제시되는 트러블들이 일어나는데 어떻게 하면 문제적 인지편향을 방지하거나 제거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데 있어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책이다.
인지는 '기억이나 선택, 판단 등의 인간 사고와 관련된 마음의 작용이며 편향은 왜곡이나 편중됨을 뜻한다.
즉 사고의 왜곡, 편향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실로 우리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의식보다 무의식에 작용하는 법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상에서 우리가 느끼거나 확인할 수 있는 인지편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나는 괜찮지' 라고 생각하는 것은 토론하고 생각해야 하는 과정을 거친 결과로의 괜찮음이 아닌 스스로 내리는 주관적 인식이라 뇌는 복잡하고 힘든것 보다 편하고 쉬운 길을 택하고자 하는 인지편향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나는 괜찮아' 라는 단정적 생각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나, 우리 자신이 자신도 모르는 인지편향적 존재가 아닌가 하는 물음이라면 스스로가 인지편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6가지 편향이 일어나기 쉬운 상황을 통해 점검과 체크를 해볼 필요성이 있다.
저자는 이러한 인지편향에 대한, 인지편향이 일어나기 쉬운 6가지 상황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기억, 추정, 선택, 신념, 인과, 진위에 관한 편향을 하나 하나 살펴보면 그간 나, 우리 자신이 몰랐던 인간의 존재가 가진 문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자는 인간의 뇌가 가진 인지편향성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하고 설명해 주고 있다.
나, 우리 스스로가 가진 옳바름이라는 의식도 한 번쯤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야 하는 것이다.
그 연후에 스스로가 인지편향적이 아니라는 의심을 벗어날 수 있을 때 나, 우리의 일상적 삶에서 옳바른 방향성과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보면 적어도 스스로의 만족감이 주관적이 아닌 객관적 만족감으로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뇌가 가진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기 위해 알아야 하며 이러한 인지편향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뇌를 믿는것이 아닌 나, 우리라는 인간 존재의 옳바른 의식을 믿을 수 있게 하는 시간을 느껴보길 권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