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와 추상 - 13세부터 익히는 두뇌 사용법
호소야 이사오 지음 / 주니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회복지 관련 학습을 하다 보면 '인간행동과 사회' 라는 과목에서 보다 인간에 대해 밀도 있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해 나가는 시간을 맞게 된다.

왜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할 법도 할듯 하다.

제목인 구체와 추상이라는 것을 우리는 학업을 배우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다.

이는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고 체득할 수 있는 요건이라 할 수 있는데 많은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지 않더라도 대략 13세 수준의 청소년기에 이르러서는 갖춰지는 능력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러한 능력요소가 무턱대고 생긴다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수학은 왜 배워야 할까? 또한 속담은 왜 배워, 돈은 왜 필요해? 등 이러한 질문에 쉽게 대답할 수 있다면 아마도 여타의 물음이나 수학이라는 존재가 계산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우리 인간의 의식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으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와 추상은 우리가 사는 삶의 과정에서 보이는것이 다가 아닌 새롭게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고 한다.

그 실체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구체와 추상" 은 인간의 두뇌, 특히 사고하는 능력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인간이 인식하는 모든것의 토대라 할 수 있다.

좀더 쉽게 이해해 본다면 학교 공부, 동아리 활동, 취미, 놀이 친구관계, 일, 봉사활동, 예술 등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의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우리가 이러한 구체와 추상에 대한 배움을 얻는다면 세상을 보는 시선과 함께 하는 사회에서의 소통이 달라질 것임을 부인할 수 없다.

즉 구체와 추상이라는 요소를 통해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고 보면 몰라서는 안될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체와 추상은 어떤 관계인가? 반목하는 관계인가 아니면 협조하는 관계인가?

저자는 구체와 추상이 개별적 존재감을 갖는 것이 구체이며 그러한 개별적인 구체들이 묶이어 추상화 된다는 개념을 도표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구체와 추상을 결정 짖는 것이 바로 우리가 인식하거나 의식하는 정보의 양과 질에 따른 폭이라 할 수 있다.

구체와 추상은 상호 오가는 관계이며 우리가 사고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말한다.

즉 구체를 추상하는것이 추상화이며 추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구체화이므로 이러한 과정의 반복과 지속성이 우리가 의식하는 사고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구체와 추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5장으로 구성된 두뇌 사용법을 알려준다.

가장 먼저 기본으로의 구체와 추상에 대한 개념적 설명을 통해 이해를 돕고 있으며 응용편에서는 머리를 쓴다는 것이 구체와 추상을 활용해 사고하는 지혜로운 과정임을 알려주고 실천편에서는 어떻게 구체와 추상을 우리의 삶과 연계시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실천으로서의 방법론을 '공부'에 적용해 알려준다.

구체와 추상을 활용하는데 있어서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구체와 추상은 매우 잘 벼른 양날의 칼과 같다고 한다.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엄청난 힘을 발휘할 수 있지만 잘못 사용한다면 하지 않음만 못한 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올바른 활용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구체와 추상은 결과적으로 나, 우리의 생각하는 힘과 결부되어 있다.

생각하는 힘으로의 구체와 추상이라는 요소가 순환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사고의 과정이라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이 책을 통해 만끽해 보길 권유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