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스님이 되었을까
인해.명오 지음 / 민족사 / 2025년 3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수 많은 종교가들을 보며 종종 느끼는 것이 바로 이 물음이지 않을까 싶다.
하고 많은 직업 중에 왜 종교인이고 또 스님이 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보통의 사람들이 스님 또는 여타의 종교인들에게서 느끼는 궁금증 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그러나 딱히 그에 대한 대답을 듣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이 책의 주인공처럼 애써 후진들의 지속적인 양산이나 도입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면 쉽게 스님이나, 목사, 수녀님이 되고자 하는 방법론적 이야기를 제시할 필요성은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과거를 돌아보면 스님이 되는, 되고자 하는 일은 세상 삶의 승화로의 목적보다 희노애락에 비친 인간의 모습을 견지한 나, 우리를 세상과 격리시키고자 하는 탈속의 의미로 빈번히 일어났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와 함께 종교를 바라보는 우리의 의식과 인식도 달라졌고 삶의 목적으로의 과정을 종교인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의미도 읽을 수 있다.
어떤 의미, 어떤 연유로 스님이 되었는지를 들려주며 그들의 삶이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임을 말하는 책을 만나 읽어 본다.
이 책 "우리는 왜 스님이 되었을까?" 는 저자인 두 분 통도사, 동학사 학장 스님들이 왜, 어떻게 스님이 되었는지, 될 수 밖에 없었는지 하는 출가에 의미를 둔 자신들의 삶에 비추어 들려주는 책이다
더불어 지금의 스님으로의 삶이 인간 삶의 궁국적 목적이라 할 수 있는 행복한 삶이라 자족하고 있음을 드러내며 또다른 후학으로의 스님이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좋은 경험칙으로의 가이드와 같은 역할론을 기대하게 하는 책이다.
흔히 우리는 출가를 머리 깎고 산 속 사찰에 들어가는 행위와 과정으로만 생각하지만 결코 그러한 외형적인 모습으로만 따질 일이 아님을 깨닫게 한다.
출가는 세상의 번뇌와 미혹에서 벗어나 '나는 누구인가'를 간절히 찾는 길이자 구도의 길이라 일컷는다.
출가가 세상을 버리거나, 혹은 선택받은 이들만의 길은 아니다.
오롯이 '나와 세상 사람의 행복을 위한 수행의 길' 임을 강조하며 그 길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자유와 행복의 길임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인해스님과 명오스님은 불교의 출가가 험한 세상에서 오롯이 나, 우리 자신의 존재감을 명확히 깨닫고 스스로 자유스런 삶을 구현하며 수행하는 구도자의 길을 가고 있다.
오늘 나,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돌이켜 생각해 볼 일이다.
물론 삶에 대해 무한긍정을 갖는 사람들이라면 나, 우리 자신의 삶과 인생의 궁극적 목적론에 부합하는 당위적 사유를 제시할 수도 있겠지만 삶의 둔중한 무게감에 눌려 힘겹고 어려운 삶을 살아 간다면 삶 자체에 부정적 시선을 견지하는건 혼탁해져 가는 세상 만큼이나 우리 자신의 불행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지금의 나, 우리의 삶이 어떠한지를 십분 고민해 보아야 한다.
그러한 고민은 더 나은 나, 우리의 삶과 인생을 위해 꼭 해야만 하는 필수적 과정이라 하겠다.
인구감소와 저출산은 종교계에도 영향을 미쳐 저출산, 저출가 시대를 맞고 있다.
과거와는 다르게 MZ세대 스님들이 대중과 함께 화합하고 조율할 수 있는 삶을 위해서는 인해, 명오스님 같은 앞선 분들의 삶과 그들이 추구하는 바에 대한 진실함이 드러나는 모습들이 더욱 바람직한 트리거가 될 수 있다.
우리의 의식이 물질 중심으로 바뀌어 가는 삶이 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정반대의 방향으로, 거꾸로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진리와 삶의 궁극적 목적을 향해 출가하는 이들이 있기에 잘 계도하고 이끌어 나간다면 자율과 평등의 차원에서 시작하는 경쟁은 바람직한 경쟁으로 이해할 수 있을듯 하다.
두 스님의 출가와 삶에 대한 이야기로 나, 우리의 삶에 대한 의미를 톺아 보길 권유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