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한다는 것 - 소통의 시대에 느림의 철학자 피에르 쌍소가 전하는 “진정한 대화”와 “대화의 행복”
피에르 쌍소 지음, 이진희 옮김 / 드림셀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 삶은 다양하지만 모두가 같은 속도감을 같는것 처럼 생각을 한다.

하지만 우리의 삶의 속도는 모두 제각각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속도의 차이에 의해 소통 단절, 소통 불가 등의 현상을 목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삶의 속도가 빠르거나 늦다고 해도 그것이 과연 소통에 대한 이유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생각의 차이는 삶의 차이를 만들며 소통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도 우리는 상대와 소통을 하고자 하지만 삶의 속도에 따라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화를 한다는 것은 모두가 다른 삶의 자세와 제각각의 사유의 속도를 가진 이들이 서로를 향해 내 미는 손길이라, 말길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소통의 길, 대화를 한다는 것에 대해 긴밀한 의미를 제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대화를 한다는 것" 은 셈세하고 유쾌하고 즐겁게 시간을 쓰고자 하는 방법론으로의 대화를 한다는 것을 주제로 경쟁이나 이해관게를 떠나 아무런 이득을 얻지 않아도 화합의 행복을 얻을 수 있음을 알려준다.

성공적인 대화는 소통이 되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그러하면 성공적인 대화는 어떤 대화이고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대화와 수다는 무엇이 다르고 같은지, 아니면 수다를 언어의 남용쯤으로 생각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상상의 존재일 수도 있는 신과 말을 놓는다 생각할 수 있는가?  등등의 문제들은 나, 우리를 여전히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데 주요하며 그러한 물음들은 나, 우리를 대화의 장에서 서로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의미를 품고 소통의 기회를 만들어 낸다.

모두가 삶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아파하지만 각자가 느끼는 문제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무척이나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우리의 마음과 느낌과 생각을 대화의 장에서 펼쳐 내지 못한다면 우리는 타인과 소통할 수 없음에 따라 혼자만의 생각에 빠질 수 밖에 없게 된다.

타자와의 대화를 한다는 의미는 자신의 주장만을 내 세우기 보다는 보다 보편적인 의미로의 소통을 통해 모두가 함께 유익하고 바람직한 모습으로의 삶을 꿈꿔 볼 수 있기에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어젠다로 삼을 수도 있다.



인간은 말을 할 수도 있고 침묵을 유지할 수도 있는 존재이다.

꼭 말로 해야만 알아듣는 일도 없겠지만 무언의 행동으로도 우리는 우리가 무엇을 원하고 지키려 하는지를 알 수 있다.

하지만 보편 타당한 공동체와의 연대나 대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서로다른 모든 이들에게 다가 설 수 있는 공감대로의 소통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가 씨름해야 할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대화하는 자리에 독자들을 초대하고자 하는 저자가 마련하는 대화의 장에서 자기만의 속도로 소통을 꿈꾸는 느림의 방식으로 대화하는 것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가져볼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러한 대화와 소통에 대한 가르침을 주는 서사를 통찰해 보길 권유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