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의 흔들림 - 영혼을 담은 붓글씨로 마음을 전달하는 필경사
미우라 시온 지음, 임희선 옮김 / 하빌리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먹을 쓰는 일은 그림을 그리거나 붓글씨를 쓰는 일 외에는 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흔들림이라는 것은 불안함을 뜻하기도 하지만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과연 그러하다면 붓글씨를 쓰는 와중의 먹의 흔들림은 무엇을 뜻하고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어쩌면 붓글씨를 쓰는 행위는 자신의 부단한 노력을 통해 자기만의 세계를 완성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 역시 독단적인 세계의 완성 이후에는 함께 하는 세상과의 소통이 반드시 필요한 법이고 보면 먹의 흔들림은 그러한 세상과의 소통에 마득치 않은 무언가를 표현하고 있는 주제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소통, 우리에게 소통은 무척이나 중요한 시대정신이기도 하다.

무슨 소통이 시대정신이냐고 까지 말할 수 있을지 몰라도 우리의 현실은 소통과는 차원이 먼 개인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고 혼자만의 삶에 최적화된 모습으로 나, 우리 자신의 삶과 인생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한 과정이 어쩌면 흔들림 없이 한 획을 그어 완성할 수 있는 먹의 최고경지와 배치된다 생각하면 저자가 붓글씨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책 "먹의 흔들림" 은 호텔리어로 일하고 있는 '쓰즈키'와 서예가인 '도다'가 우연치 않게 마주하게 되며 점차 자신들도 모르게 끌림을 느끼고 서로를 삶의 필요 존재로 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담아 소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는 책이다.

'필경사'(筆耕士, scribe)는 손글씨로 글을 적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또는 전문가를 뜻한다.

지금처럼 디지털화된 세상이 아닌 적어도 아날로그적 시대 속 삶을 여실히 보여주며 어쩌면 잊혀진 편지에 대한 기억을 회수해 다시금 소통이라는 의미를 추적하고 전개해 나가고자 하는 의미를 부여하는지도 모른다.

호텔리어인 쓰즈키가 일하는 미카즈키 호텔에서는 고객을 초청하거나 대외 서비스를 위해 필경사를 통해 붓글씨로 쓴 문서로 안부를 묻곤 하는데 지금의  현실을 생각하면 비현실적이고 비효율적이라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여전히 일본에서는 통용되고 있는 상황이라 보면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게 느껴질듯 하다.

쓰즈키와 도다는 전혀 다른 성격의 인물이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지 못한 성격적 특성들을 캐치해 내는 능력은 탁월해 서로의 장점을 자신의 단점을 커버링하는데 활용하고 점점 더 다가가 독특한 우정의 관계를 맺는다.

소설은 무척이나 매끄럽게 이어지고 환경적인 상황들이 두 사람의 심리적 특성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게 도드라져 보이게 한다.

왠지 모르게 마뜩치 않으면서도 신경이 쓰이는, 그러면서도 그것이 나쁘다기 보다 자신이 감수하고 이해하는 차원으로 승화되 배려하게 되는 관계를 오늘의 개인주의적 현실에 빠져 있는 우리로서는 쉽게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늘의 우리가 개인주의적 삶에 빠져 살든 어떻든 여전히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고 혼자가 아닌 '함께' 의 삶을 살아야 하는 숙명을 안고 있다.

그러한 점에 본다면 쓰즈키와 도다 역시 전혀 다른 성격과 특성들을 보이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해 나가는 과정들이 오늘 우리가 배워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한 과정으로의 소통에 대해 주목하고 소설 속 인물인 쓰즈키와 도다의 역할론을 호텔리어와 서예가로 특정했는지도 모른다.

서예가는 혼자의 세계를 추구해야 하는 존재이지만 호텔리어는 다방면의 인물들과 소통하고 배려하며 관계를 이끌어 가야 하는 정반대의 성격을 지닌 두 인물의 조우, 아주 자그마한 기미로도 봄은 새싹을 티워내듯 우리의 타자와의 관계 역시 그러한 의미로 아주 작은 관심과 아주 작은 동기만으로도 상대에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으면 좋겠다.

진정한 소통법,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파트너십을 통해 소통의 참 의미를 이해하고 오로지 나, 우리 자신에게로만 치달아 가는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되돌려 나, 우리와 관계하는 모든이들에게 시선을 돌려 보도록 환기 시키는 작품이라 매력적이라 할 수 있다.

불통의 시대이자 자신과 다르다면 적으로 만들어 버리는 작금의 사태들을 보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소통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전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