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 없이 그림으로 이해되는 수학 개념 사전
사와 고지 지음, 히로사키 료타로 그림, 송경원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수학을 말하면 머리 아파하는 학생들도 많고 직장인이나 성인들 역시 고개를 설래설래 흔든는 분들도 많다.

이러한 현상은 모두 수학에 대한 거부반응이나 부작용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러한 현상은 모두 수학을 암기하거나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습한 경험에 의해 느낄 수 있는 일이라 판단해 볼 수 있다.

다양한 학습 방식과 다양한 교수법들이 존재한다.

뛰어난 교재가 열 스승을 뛰어 넘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경우가 흔하지 않지만 아예 없다고는 말할 수 없는 일이다.

수는 사물의 성질이라고 한다.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지고 생각하는 등의 모든 것들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를 구분하고 이를 보편 타당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수라고 하니 우리가 지금껏 알아왔던 수에 대한 정의나 개념을 다시 세워 볼 필요성이 있을것 같다.

좀더 수와 밀접한 나, 우리의 삶이 되길 바라마지 않는 저자의 바램을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암기 없이 그림으로 이해되는 수학 개념 사전" 은 '수학은 나와 상관이 없는것' 이라 생각하는 것을 타파하거나 또는 일상적으로 만나는 모든 수학이 필요해 지는 상황에서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일상과 세상은 모두 수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한 세상과 일상을 매일 살아가는 나, 우리로서는 수에 대한, 수학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수학포기라는 말을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님을 이 책을 통해 발견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렇다고 중 · 고 · 대학의 복잡다단한 수학을 연상한다면 이 책을 대하고 있는 나라도 고개를 흔들수 밖에 없을지도 모르지만 저자는 앞서 설명했듯이 충분히 수학이 필요해지는 모든 상황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의 설정으로 수학을 지면에 녹여내고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알수 있다.

복잡한 수식을 설명하기 보다 수식이나 수학적 논리가 가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참조 그림과 함께 설명을 이어가고 있다.

수학 포기자들은 수와 수식으로만 이뤄진 개념을 이해하는데 골머리를 앓았지만 이해를 돕는 참조 그림을 본다면 보다 쉽게 이해의 폭을 넓히거나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액체 등에 녹아 있는 물질의 비율을 농도, 밀도라 한다.

개념적 정의를 모르는 이는 없겠지만 수학적 서사를 부연해 설명하면 머리가 아파진다.

그 때 농도와 밀도를 이해할 수 있는 참조 그림을 본다면 월등히 쉽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에 남길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효과를 거둘수 있도록 외우지 말고 보기만 하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수학적 개념 221개를 외우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고 있다.

모두가 나에게 완벽히 이해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풀어내야 하는 수식이나 설명을 다양한 참조 그림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은 수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법이라 할 수도 있을것 같다.

그리고 인간의 기억은 다변화 된 방법으로의 인식을 통해 더욱 오랜 장기기억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저자의 이러한 학습 방법의 제시는 우리에게 수학에 대한 공포감이나 불안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을 제시하는것과 다르지 않다.

암기 없이 그림으로 이해되는 수학 개념 사전이라는 말처럼 221개의 수학 개념들을 빼곡히 안내하고 있어 일상적으로 수학을 어렵게 생각하는 나, 우리의 의식을 새롭게 재편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할 수 있을것 같다.

그 효과는 얼마나 많은 이해와 실천을 통해 경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판단해 보며 외우지 않고 보는것 만으로도 이해할 수 있는 수학이 된다면 수학을 포기하는게 아니라 좋아할 수도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전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