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당 엄마
김재성 지음 / 바른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엄마에 대한 정, 사랑을 우리는 모두 익히 알고는 있지만 쉽사리 표현하지 못하고 산다.
그 결과 살아 있을때 해야 할 일들을 돌아가신 후에야 후회하고 아쉬워 하는 우매함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살아 있을 때 잘 하라는 말들이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무당, 요즘 대한민국을 어지럽힌 이들이 활용했던 무당, 그 무당을 엄마로 둔 이들의 심정은 어떨까?
아마도 사회적 냉대를 받고 있는 실정을 생각하면 물어보지 않아도 그 마음이 어떨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살아 생전 쓰지 못했다'는 아쉬움과 미안함을 담은 자식의 어미니에 대한 사랑, 그리움 등이 녹아들어 읽는 내내 콧날이 찡한 느낌을 여운처럼 지니게 한 작품을 만났다.
'어머니'의 존재는 그렇게 가슴이 미어지도록, 눈시울이 뜨거워 지도록 그립고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나, 우리의 기원이기에 그러하기도 하지만 삶을 사랑으로 이끌어준 분이기에 더더욱 그러한 감정을 느낄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무당 엄마는 결코 평범한 삶이 아니다. 그러한 엄마의 삶과 나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무당 엄마" 는 자식의 앞날을 걱정해 자식 대신 신을 받아 무당이 된 엄마의 사랑을 그리움과 아쉬움이 뒤 섞인 감정으로 어머니의 삶을 그려내고 있어 잔잔한 감동의 물결을 전해준다.
누구나 어렸을 때는 철부지라지만 무당이 된 엄마는 저자에게 엄하고 호된 모습으로 무계 쪽으로 시선을 돌리지 못하게 했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알게 된 사실이지만 자식이 무당이 될, 신을 받아야 할 운명인데, 그것만은 막고 싶은 것이 바로 부모의 마음이라 생각하면 차라리 내가 대신하지 라는 마음을 충분히 먹고도 남음이 있으리라.
그렇게 어머니는 저자 대신 무당이 되었고 점차 무당으로서의 위치를, 존재감을 세상에 알리게 되었다.
특별나거나 크게 바랄것 없는 삶을 꿈꾼 저자, 그저 남들처럼 평범한 가정 환경 속에서 행복을 꿈꾸는 일이 그토록 어려운 일인걸까?
오늘의 나, 우리의 일상과 삶을 생각해 보며 무당 엄마를 둔 아이들의 삶을 비교해 보면 우리의 의식 속에 편견의 씨앗이 담겨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보게도 된다.
그러한 마음이, 그러한 마음을 가진것이 죄가 될 수는 없다.
엄마가 아니었으면 무당으로의 운명을 받아 들여야 했을 저자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천주교에서 세례를 받고 '욥'으로 거듭나 평범한 범인으로의 삶을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고 전한다.
이 책은 저자와 어머니의 삶에 대한 지난한 과거를 회상하며 쓴 수필형 소설이다.
수필과 소설의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어 물흐르듯 쉽게 읽어 나갈 수 있어 속도감이 좋다.
더구나 무당의 세계에서도 인간의 욕망이 드리운 더럽고 추악한 모습들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기에 어디나 인간이 존재하고 인간이 만드는 세상은 다를게 없구나 하는 강한 모멸감을 느끼게 된다.
무당 엄마의 바램은 온전히 자식의 안위뿐이었음을 의식할 수 있다.
어쩌면 그런 엄마가 존재하고 있었기에 지금의 저자가 있을 수 있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세상 그 누구도 홀로 날 수 없는 법, 자신을 낳고 기른 부모에 대한 공경과 사랑을 베푸는 일은 인간의 삶의 순환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변함없이 지속되어야 한다.
무당 엄마의 바람대로 '내 아들만큼은 내 인생을 닮지 않게 하리라'는 염원이 이루어 졌을지 기대해 보며 독자들과 무당 엄마, 무당이라는 존재에 대해 다시금 인식, 이해해 보는 시간을 권유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