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약속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설령 그것이 삶을 다한 죽은이들과의 약속이라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한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죽은 후에 무슨 약속을 지켜? 끝인데 약속은 무슨? 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죽음은 우리에게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식을 갖게도 한다.
살아 생전의 상대와의 약속이나 하고자 했던 말을 꼭 전하고자 하는 생각을 죽는 순간에도 했을 이들을 생각하면 죽음 이후에도 어쩌면 약속은 지켜져야 하고, 지킬 수 있게 하고픈 우리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한 의미를 담아 쏠쏠한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박현숙 작가의 약속 식당에 대한 이야기를 마주해 본다.
약속시당이라니 약속을 이뤄 주는 식당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책속의 소설로 들어가 본다.
이 책 "약속 식당:구미호 식당3" 은 죽어 망각의 강을 건넌 채우가 자신과 함께 했던 설이에게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천 년 묵은 여우 만호와 만나며 설이와의 약속을 위해 인간으로의 재탄생의 기회를 버리고 만호와 약속을 하는 스토리로 그려진다.
소설은 다분히 불교적인 색채를 조성한다기 보다 불교적 사상인 윤회설에 근거한 이야기를 통해 채우의 환생을 설이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포기하는 모습을 그려놓는데, 그러한 과정은 이미 죽은이의 환생을 걸고 또다른 약속으로 지난 생에서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과정들이 중요하게 그려진다.
흔히 우리는 윤회를 통해 환생을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러한 측면이 맞다면 애써 환생을 포기하면서 까지 지난 삶에서의 약속을 지켜야 할까 하는 궁금증을 낳게 한다.
물론 채우는 설이를 좋아하고 사랑한다는 가정이 그러한 서사를 이끌어 가는 힘이 된다.
어쩌면 저자의 의도는 사실 죽음으로써 끝나는 생이지만 인간의 약속이라는 의미를 통해 삶과 죽음의 양단에 걸쳐 이뤄지는 서사를 아우르는 의미를 우리에게 깨닫게 해 주고자 하는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아마도 '살아 있을때 말할 걸, 또는 살아 있을 때 약속을 지킬 걸"과 같은 깨달음이 아닐까 싶다.
망각의 강은 이승의 기억들을 모두 지워내는 강이라 모든것을 내려 놓아야 하는 공간이다.
그런데 소설에서의 채우는 어떻게 망각의 강을 지나서도 설이와의 약속을 기억하고 고집하며 그러한 사실을 알아 낸 천 년 묵은 여우 만호의 눈에 띠어 짧은 시간동안의 환생을 통해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지 의아하지만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보다 스토리를 이어가기 위한 맥락으로나 감성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재미를 위해서는 더 맞을 듯 하다.
천 년 묵은 여우 만호와 약속한 채우의 환생, 물론 설이 역시 환생했지만 설이가 채우가 생각한 모습 그대로의 설이 모습이 아니라는 점에서 사건은 점점 더 촉박해지고 다급해 지는 소설의 흐름처럼 느껴진다.
게 알레르기가 있는 설이, 짧은 시간 내에 찾아 낸 주변 인물들 가운데 과연 게 알레르기가 있는 인물은 누구이고 또 채우가 찾은 인물이 정말 그토록 찾아 헤맨 설이가 맞는것일까? 하는 궁금증에 시간가는 줄 모르게 읽게되는 소설이다.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이렇게 전한다.
'다음 생에서 만나자'는 말은 우리가 이생에서 다하지 못한 여운을 남기는 간절함을 담은 말이라고...
하지만 그러한 간절함을 남기고 떠나는 일은 되도록이면 하지 않아야 한다.
삶에서 죽음으로 건너가는 이들은 인간의 역사 이래로 무수히 많지만 죽음에서 삶으로 건너 온 이들은 아직 우리의 의식세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일과 같다.
그것이 아마도 가능하다면 소설의 이야기처럼 망각의 강에서 깨끗하게 순순한 존재로 거듭나 다시 환생의 순서를 기다리는 과정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떤 연유라도 소설과 같이 약속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이 존재하고 그러한 사건들이 일어난다면 인간의 환생에 관려된 윤회의 기회는 사라질지도 모른다.
간절한 마음을 죽은 후에 드러낼 것이 아니라 죽기 전에 살아 생전에 간절하게 표현해 보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간절하게 갖게 하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