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두 번째 교과서 x 이진우의 다시 만난 경제
EBS 제작팀 기획, 이진우 지음 / 페이지2(page2) / 2025년 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07/pimg_7974361234596133.jpg)
우리 삶의 현실이 무척이나 팍팍하다는 사실은 오늘을 사는 많은 사람들이 N잡러가 되거나 부의 파이프 라인을 만들고자 하는데서 알 수 있다.
물론 그러함이 한 순간에 이뤄진 현상이라 볼 수는 없지만 오랜기간 누적되어 온 경제문제가 드러내는 피부에 와 닿는 삶의 문제라 할 수 있기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 나, 우리 역시 그러한 방식으로 합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경제사회에서 살면서 정작 우리가 얼마나 경제를 잘 알고 있느나 하는 문제는 또 다른 문제라 할것 같다.
어찌보면 특정한 인물들이 아니고는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서도 경제에 대해 이해하고 공부하고자 하는 모습을 잘 보이지 않는다는 아이러니함을 낳는다.
왜 일까? 경제적 지식은 보편적인 지식으로 치부할 수 없으며 거시, 미시적으로 나뉘어 포괄적인 이해를 동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그러하기에는 현실의 삶이 허락치 않는다고 해야할 것 같다.
비루한 변명이 될 수도 있으나 많은 사람들은 실질적으로 경제 지식에 대해 모른다는 것이 사실이다.
언제나 경제와 마주하고 있으면서도 경제를 깊이 있게 알지 못하는 우리에게 다시만난 경제를 폭 넓게 이해시켜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이진우의 다시만난 경제" 는 경제라는 용어를 통해 거창한 경제적 지식이 아닌 일상에서 익히 알 수 있고 알아야 하는 생활 경제지식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책이다.
뉴스 등을 보면 '유동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유동성은 액체와 같이 흘러 움직이는 성질 또는 형편이나 경우에 따라 이리저리 변동될 수 있는 성질을 말하는데 경제에서의 유동성은 어떤 자산의 현금화 가능성을 의미하는데 우리에게는 돈이 되며 시장에서의 돈은 많아져야 한다.
저자는 그러한 돈의 양에 따른 이해를 위해 돈의 속성으로 돈은 계속 늘어나고, 늘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에게 돈이 늘어 나야 함은 잘 살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이는 사회적으로 국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경제현상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한 과정을 위해 우리에게 돈이 늘어나는 3개의 수도꼭지를 설명해 준다.
그런가 하면 수 많은 투자처에서 말하는 변동성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환율, 금리, 채권은 우리의 자산에 밀접한 영향력을 미치는 조건들이다.
그러한 조건들을 모르고는 자산을 지키기도 투자를 하기도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을 수 있다.
대한민국은 부동산 공화국이라는 사실을 모르지는 않기에 아파트 불패 신화의 탄생에 얽힌 이야기와 국민 누구나가 가지고 있다는 부채에 대한 깊이 있는 경제이야기를 만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현실의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파악하고 자신의 자산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깨닫는다면 보다 현명한 경제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본다.
경제를 알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고 한다.
정말이다. 우리 사는 삶의 거의 모든 것들이 경제성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시대이고 보면 경제지식을 갖추고 효율성을 통해 바라보는 세상을 살아 간다면 보다 현명한 선택으로 삶을 맞이할 수 있다.
경제라디오 13년차 해설가, 경제 해설가로 명성을 얻은 저자의 경제 설명서로의 두 번째 시간도 무척이나 알차고 반갑다.
경제를 모르고 살 수 없는 우리이기에 보다 쉽게, 근원적으로 경제적 지식을 포괄적으로 알려주는 저자의 통찰은 오늘의 우리에게 유익한 경제 지식으로 이해될 기회라 하겠다,
경제지식을 알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유익함을 제공하는 책이라 다독을 권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