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
김영수 엮음 / 창해 / 2025년 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30/pimg_7974361234587234.jpg)
한비자, 리더십 또는 제왕학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우리는 한비자의 이야기를 표본적으로 들추어 낸다.
책의 제목이 무척이나 강한 바램, 염원 등이 담긴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 옛날 진시황(진왕)이 한비자의 글을 보고 '이 사람을 한 번만 볼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 고 한 말을 고스란히 채용해 썼음을 살필수 있고 보면 저자가 한비자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 주리라 기대해 볼 수 있는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리더, 제왕들에 대한 사상서 혹은 철학서로 이해해 볼 때 과연 오늘의 나, 우리에게 합당한 역할이나 존재감으로 읽혀질까 하는 기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오히려 과거 보다 월등히 다양한 사회, 조직, 관계에 있어서의 리더십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판단할 수 있는 바 이고 보면 진시황의 바램처럼 한비자의 인간속성과 본질을 꿰뚫는 사유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것은 현실적으로 나, 우리의 자기계발을 넘어 새로운 시대의 리더로의 역할자로 탄생시키는 시발점이 되리라 판단해 보며 손에 쥔 책을 읽어 본다.
이 책 "한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 는 한비자가 인간의 속성과 근본을 꿰뚫어 보고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의 가치를 제시하는 자기계발서 이자 심리서로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한비자는 오늘날 중국의 하남성 서평현의 한당촌이라는 곳에서 서자로 태어났고 이사와 함께 순자의 문하생으로 수학하는가 하면 결국 이사에 의해 생을 마감하는 상황을 맞게 되기도 한다.
저자는 고전에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고전들을 재해석해 오늘 우리의 의식에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저자가 구성한 이 책은 3부로 구성되 있으며 한비자에 대한 인물로의 존재와 사상서로의 한비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1부, 가볍게 한비자를 읽을 수 있는 2부, 무겁게 읽기로의 한비자에 대해 톺아보는 시간은 오늘 우리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존재감을 명확히 하는데 있어 도움을 준다.
가볍게 읽기는 리더의 조건에 대한 내용으로 다양한 덕목에 대한 이해를 적용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무겁게 읽기는 한비자가 제시하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예들을 통해 타산지석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도록 짜여 있어 읽음으로 끝나는 독서가 아닌 실행으로의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있다.
진시황이 왜 한비자를 한번만 만나보면 여한이 없겠다고 했는지에 대해 저자 역시 그러한 의미를 독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깨달음을 주고 있다.
한비자는 법과 술과 세로 다스림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늘 우리나라의 정치상황을 보면 답이 없지만 법으로 다스리고 술로 구슬리고 세로 복종시키는 그런가 하면 명확한 상벌을 통해 이끌어야 함을 일깨워 준다.
이러한 법, 술 세는 조직, 나라, 백성이라는 치환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 우리 역사의 수 많은 리더, 제왕들의 행태가 어떠했는지를 살펴 반성하고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의미를 읽어 낼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끊임없이 대입시켜 보는 기회를 가져보라 주문한다.
그러한 방법이 오늘을 사는 나, 우리에게 생각하고 사유하는 나, 우리를 만들어 줄것임을 부인치 않으며 그것이 리더십의 자세이자 통찰을 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 깨달음을 주는 것이다.
현시국의 상황을 한비자를 통해 현명한 깨달음으로 헤쳐 나갈 지침을 한비자에서 만나보길 권유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