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따지는 변호사 - 이재훈 교수의 예술 속 법률 이야기
이재훈 지음 / 예미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예술을 논하는 일을 따지는것으로 생각해 본다면 조금은 다른 관점이나 의식을 가진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예술작품의 작가들의 심중의 이야기를 속속들이 들어 볼 수 없기에 작품을 두고 이렇쿵 저렇쿵 하는 말을 하는것이 옳다 말할 수는 없지만 예술, 특히 미술 작품이라면 감상적 차원에서 다양한 해법으로의 이해를 가질 수 있다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을 따진다? 왜? 라는 물음을 가질 수 있기에 그냥 감상이 아니라 합리적 의심을 가지고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면 무슨 미술품을 논리적이고 합리적 의심을 따지냐고 할 수 있을지 몰라도 무지함으로 일관하거나 모르면서 아는척 하는 부류와는 전혀 다른 지적 존재로의 미술품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는 일이다.

그것도 법을 다루는 변호사가 미술을 따진다? 하니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서사를 만나볼 수 있기에 오히려 바람직한 미술 감상법으로 분류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그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그림 따지는 변호사_이제훈 교수의 예술 속 법률 이야기" 는 규율에 기반한 유연성을 모토로 하는 법조인인 저자의 취미 생활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호기심으로 집필된 책이다.

호기심은 많은 것들을 알고자 하는 마음의 신호다. 

미술이나 음악뿐 아니라 다양한 세상의 일들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 이들의 공통점은 대상을 기존의 관점이 아니라 새로운 관점으로 새롭게 본다는 것이다.

저자 역시 그러한 관점으로의 미술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이 책을 통해 전달해 준다.

미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우리에게도 잘 알려 진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작품이다.

그런데 작품의 미적 아름다움에 취해 작품을 이해하는데 소홀히 할 수도 있는 걱정을 잠재우며 저자는 독자들을 17시기의 네덜란드의 상황으로 이동시켜 전혀 새로운 관점을 통해 미술품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주고 있다.

진주는 보석인가 아닌가?

진주는 웹서핑을 해 보면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로, 탄산칼슘이 주성분이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빛깔의 광택이 나는 보석의 일종이라고 알려주는데 저자는 스위스의 소재 비영리단체 CIBJO가 한 정의와 국내의 개별소비세법 기준에 따라 보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보석은 아주 단단하고 빛깔과 광택이 아름다우며 희귀한 광물로 정의하는데 진주는 그러한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

진주를 보석으로 알았던 우리의 의식을 새롭게 리빌딩 할 수 있게 해주며 미술작품을 통해 그러한 과정으로의 이해를 갖는 과정을 읽어 나가는 일은 무척이나 재미 있는 미술품에 대한 통찰이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저자는 일상생활과 법, 지식재산과 법, 아이들과 법, 동물과 법, 사건사고와 법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해 각각에 해당하는 미술작품들을 통해 새로운 방법으로의 관점과 해석을 더해 주고 있어 실질적으로 미술품 감상에 대한 의미를 몰랐을 우리에게 조금은 딱딱하고 경직된 의미로의 감상과 이해지만 하나의 감상법으로 분류해 볼 수 있을것 같다.

미술품을 법적 기준으로 바라보는 감상법 뿐만 아니라 경찰관, 형사의 관점으로 보는 미술작품, 소방관, 과학자, 공무원 등등의 직업적 관점의 기준으로 바라볼 수 있는 미술품 해석도 출간될 수 있다면 본래적인 감상법이 아니라도 미술품과 더불어 관련 기술 또는 법에 따라 새롭게 해석하는 논리성을 다채롭게 즐겨볼 수 있을것 같다.

예술속 법률 이야기를 자신의 취미를 통한 호기심으로 책까지 발간하고 칼럼까지 쓴 저자의 놀라운 혜안에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