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모든 것을
시오타 타케시 지음, 이현주 옮김 / 리드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유괴사건의 원인은 대부분 돈과 관련이 있지만 대부분 쉽사리 해결되는 기미를 보이지는 않는다.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들로서는 경악과 슬픔으로 한숨쉴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시작되는 것이라 생각하면 등골이 서늘함을 느끼게 된다.

유괴사건을 다룬 작품들은 한국소설 보다 일본쪽 소설들이 윌등히 많고 댜양한 원인과 반전적 요소로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도 많음을 알수 있다.

유괴사건의 대부분이 미해결 사건으로 남겨지게 되는 상황을 생각해 볼 때 우리사회의 아동보호 시스템에 대한 점검과 경각심을 다져야 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스런 마음도 갖게 된다.

무려 30년 전에 일어났던 유괴사건, 그 사건의 진실을 쫒아가는 형사? 아니 신문기자의 행보를 몰입감 넘치게 제공하고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존재의 모든것들" 은 동시 다발적인 유괴사건의 발발을 해결해 나가는 경찰, 형사 추리소설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전체적인 서사는 미온적인 느낌으로 평이한 작품으로 감동적인ㅇ서사의 흐름을 선사하는 책이다.

지금까지의 유괴 사건과는 조금 맥락이 다른 상황이 전개된다.

동일범의 소행이라 여겨지는 듯 두 아이가 동시다발적으로 유괴되지만 6학년 아쓰유키는 무사 귀환하고 다른 아이인 료군 역시 무사귀환 하지만 그 귀환의 시간은 3년의 시간을 공백으로 채웠다.

그런가 하면 범인은 잡히지 않고 오리무중이다.

결국  핵심은 아이들에게서 단서를 얻는것 뿐이지만 신뢰를 잃은 형사에겐 부모도 아이도 어떤 말도 전하지 않음으로서 사건은 그야말로 진퇴양란이 되고만다.

3년 이라는 공백의 시간 동안 료를 정성껏? 키운 인물은 누구였을까? 흔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에 대한 추리가 과연 맞는지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사건은 미궁속으로 빠져 든다.

30년이 지난 후 유괴사건 담당 형사가 죽고 사건취재 기자가 사건의 진실을 파헤쳐 가는 색다른 의미의 유괴사건이자 3년의 공백을 가진 소년의 이야기는 사뭇 꼬리를 무는 의문과 함께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30년이란 시간이 일선 형사에게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었을 것이다.

수 많은 사건들을 접하면서도 해결하지 못한 사건으로 자신을 괴롭혔을 것이라 생각하면 진짜 경찰, 형사다운 존재라 생각할 수도 있을것 같다.

그런가 하면 그 형사의 죽음이 또다른 이에게 전가되는 상황으로 번져 취재 기자가 유괴사건의 진실을 쫓는 과정과 아동의 육아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인식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해 본다.

형사와 기자가 사건을 통해 밝혀 내려하는 존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물음에 도달하면 범인을 특정하지 않고 사회적 존재로의 나, 우리의 연대적 책임과 의무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하는 느낌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다소 달콤한 맛을 느끼게 해 주는 러브스토리의 추가는 사건을 더욱 혼란스럽게 하지만 전체 서사의 맥을 졸깃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느낌과 맛을 전해주는 작품이라 두께만큼 긴 시간의 재미를 느껴볼 수 있기에 일독을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