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창업·취업 완벽 가이드북 - 연봉 1억 초보 공인중개사는 이렇게 시작했다
노창희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연봉 1억은 대한민국 소득계층 중 상위 5% 이내에 존재하는 이들이라 생각할 수 있다.

현실의 삶이 과거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말하고 있지만 경제적 상황은 여전히 고립무원의 삶으로 이해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직장인도 아니고 공인중개사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행보를 갖는 직업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연봉 1억 초보 공인중개사라니 시작부터 상위 5% 이내에 드는 환경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직장과는 또다른 모습으로의 나, 우리의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공인중개사는 부동산을 매개로 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비즈니스를 하는 업이기에 직장에서의 년봉 1억을 생각하면 부동산계에서의 공인중개사 역시 만만치 않은 열정과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깨닫게 된다.

누군가는 말했다. 지금처럼 돈을 쉽게 벌 수 있는 때가 없었다고, 하지만 열정과 노력 없이 돈을 쉽게 벌 수는 없는 일이다.

공인중개사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따고 업으로의 비즈니스를 하고자 할 때 취할 수 있는 바람직하고 완벽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공인중개사 창업 · 취업 완벽 가이드북" 은 나, 우리의 주변에서 익히 보아왔던 수 많은 공인중개사에 대한 창업, 취업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제공하는 가이드로의 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이 이 책을 집필한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사무실을 오픈하고 나를 고객이 선택하게 만들지 마라! 내가 고객을 선택하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며 공격적인 방식으로의 부동산 공인중개업에 대한 방향성을 전해준다.

지금껏 이러한 공격적 방향성이나 비즈니스를 본적이 없다. 물론 그러한 공인중개사 역시 처음이기는 하다.

저자는 왜 사무실 밖으로 나가지 않는가? 하며 독자와 공인중개사 업을 고민하고 있는 이들에게 도발적 유혹을 하고 있다.

인바운드가 아닌 아웃바운드로의 영업이 진정한 영업이라 생각하는 저자에게 수동적이고 앉아서 기다리는 방식으로의 공인중개사의 모습은 기대해 볼 수 없다.

활기찬 모습으로의 공인중개사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어 뭔가 다르구나 하는 느낌을 강하게 갖게 한다.

8개의 Part로 구성된 공격적 내용을 빼곡히 들어볼 수 있으며 저자는 사무실에 있기 보다 현장에서의 '일을 하며 배우고 체득하는'과정을 무척이나 중시하고 있다.

그 과정들을 8개의 Part에 나누어 설명하고 있기에 공인중개사 시험을 치뤄 딴 자격증을 썩히기 보다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는 나, 우리에게는 무척이나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왜 저자는 인바운드보다 아웃바운드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일까?

자격 시험은 학문적 성격으로의 누구나 할 수 있는 시험이지만 현장에서의 실무는 자격 시험과는 별개의 수 많은 문제와 상황들이 펼쳐지고 있는 별천지라 할 수 있는데 과연 자격증만 땄다고 그러한 문제와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까 하는 반문을 우리 스스로 갖게 끔 한다.

실무를 가르쳐 주는 기관은 없다. 그럼으로 나, 우리는 저자가 말한 대로의 아웃바운드를 통해 수 많은 실무적 상황과 문제들을 경험하고 실질적인 중개사의 능력을 키워야 함을 깨달아야 한다.

저자는 그러한 요구를 우리에게 하고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부동산 업은 부동(不動)의 업이 아니다. 부동산 역시 파밍(Faming)으로의 변화를 꾀해 볼 수 있는 기회라 판단해 볼 수 있기에 저자는 그러함을 강력하게 주문하고 있는 것이다.

파밍(Faming)은 아이템 등을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것으로 부동산 업에 있어서는 영업활동으로 지칭할 수 있다.

그러한 활동이 바로 고객을 위해 진정성 있는 공인중개사로의 모습으로 비춰질 것이라 판단해 보며 아웃바운드로의 공인중개사를 위한 내력을 독자들과, 공인중개사 비즈니스를 시작하고자 하는 이들 모두와 함께 공유, 공감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