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불되지 않는 사회 - 인류학자, 노동, 그리고 뜨거운 질문들
김관욱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4년 12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한국의 노동 현실은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비단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 · 소 기업들의 노동 현장에서의 실태는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현실에 있어 넘어야 할 산이 많고도 많음을 깨닫게 된다.
'숨가쁨'이라는 표현이 어디 달리기를 해서 숨가쁘다는 말일까? 한국의 노동 현실이 바로 그 숨가쁨을 느낄 수 있는 현실이라는 사실이다.
그만큼 산업 사회에서의 노동의 현실이 어떠한지를 쉽게 가늠할 수 있는 표현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더구나 산업재해로의 안전사고는 얼마나 많이 발생하고 있는지 그로 인한 고통은 오롯이 노동자에게만 전가되는 아픔으로 남아 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노동에 대해 합당한 임금을 받고 있는가 하는 물음에 쉽게 답할 수 있는가?
노동이 삶의 방편이자 질병으로 나아가는 존재라면 과연 우리는 노동을 통해 희망을 말할 수 있을까 하는 물음에 대해 통찰적 시각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지불되지 않는 사회" 는 우리의 노동 현장이 쉴 틈이 없고, 다치거나, 다쳐도 무시하고 또 일을 해야 하는 일상과 같은 오늘날의 현실을 통해 우리는 노동에 무감각해지고 암묵적으로 자신에게 해악을 가하는 조건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상황을 인내하고 묵묵히 일하는 우리의 의식을 돞아보고자 하는 의미를 전해주는 책이다.
지금 되돌아 보자. 나, 우리는 지금의 노동을 통해 받는 임금이 합당한지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저자가 말하는 이 책의 핵심은 아마도 숨까쁨과 무감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노동이 갖는 본질적인 가치를 통해 우리는 노동자의 현실을 성찰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노동 현실의 모습은 여전히 암담한 현실로 느껴지는 것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대통령의 주 52시간을 뛰어 넘는 노동에 대한 인식을 생각하면 한국의 노동 현실의 개선이나 혁신은 한참 멀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한 끊임없는 노동은 노동자들에게 노동이 상처를 주는 존재임과 대상임을 각인시켜 준다.
쉴 권리는 제도적으로 명확히 지켜져야 하지만 유야무야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너무도 많다.
그럼으로 해서 과로하게 되고 결국 과로사로 사회적 병페로 귀결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합당한 노동으로의 임금이 지불되지 않고 있다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기득권자들에 의해 형성된 노동사회에서 공정과 평등은 이루어질 수 없는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공정한 노동의 조건과 사회적 치유에서 공정성의 병리학적 현상을 스트레스를 낳는 현상으로 말한다.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과 아픔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일은 우리가 노동을 통해 지향해야 하는 방향성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즉 인간적인 삶의 방향성을 위한 노동 제도의 변화와 사회적 조건들의 탐구에 대해 논의하는 일은 우리가 노동에서 가치를 찾고자 하는 의미 이상의 바람직한 의의를 갖는다 할 수 있다.
노동이 갖는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 현실적 노동이 드러내는 문제를 파헤쳐 노동의 본질적 가치를 재정의 하고자 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인류학자가 던지는 노동의 현재와 미래를 통해 우리 삶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라 생각된다.
노동의 문제에 날카롭게 의식을 갖는 이들에게 꼭 접해 보아야 할 책으로 기억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