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재의 역사 - 우주에서 우리로 이어지는 138억 년의 거대사
팀 콜슨 지음, 이진구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 존재의 역사는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 이후 존재해 왔음을 알고 있지만 명확함에 대한 불신은 여전히 꺼지지 않은 불씨로 남아 있는듯 하다.
인간이 우주에 관해 갖는 무수한 질문들에 어디 하나 명확한 대답을 들을 수 있는 계제가 아님을 알지만 지금껏 우주에 대해 연구하고 통찰해 온 과정을 따라 생각해 보면 그 과정도 만만치 않은 서사가 담겨있음을 알게 된다.
과연 인간뿐 아니라 우주의 존재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맛보여 주는 책 답게 그 역사를 톺아 보는 일도 오늘 우리라는 존재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손에 쥔 책을 읽어본다.
이 책 "존재의 역사"는 우리가 우주, 자연, 인간, 생명, 은하, 태양계 등 쉽게 궁금을 갖기는 하되 답을 얻을 수 없는 마치 철학적 사유와도 같은 느낌을 전해주고 있어 매우 답답하면서도 그 답답함을 해결하기 위해 독서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는 물리, 생물, 화학 등 분야를 뛰어넘는 지적, 상상력의 넓고 다양한 보폭을 보여주는데 그러한 지적 통찰을 통해 138억 년전의 우주의 역사를 1권의 책에 집약해 넣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지만 저자의 뛰어난 필력은 충분히 박수 받을 만한 결과로 집대성되었다 판단할 수 있을것 같다.
우주에서 우리로 이어지는 모든 존재의 역사이기에 존재론에 기반해 우주를 다루고 과학적 서사의 의미가 왜 중요하게 부각되는지에 대해 포커싱 하고 있어 역시나 방법론적 관점을 유의미하게 생각하게 된다.
모든 물질은 입자라는 것에서 시작해 중력의 존재와 그 실체를 이야기 하는가 하면 결국 우주의 일부에 지나지 않음을 통해 우주로의 확장과 수렴을 이루고 있는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물리적, 물질적 존재론에 한정된 설명만이 있지도 않다.
후반부로 갈 수록 인간에게 존재하는 인격에 대한 서사로 번져감을 생각하면 다양한 서사들을 포괄적으로 접하고 지식화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말한 수 있을것 같다.
존재가 보이는 것에만 국한된다고 생각하지 않기에 인간은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한 사유 역시 존재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사유의 핵심이라 할 만한 인간에게 존재하는 '의식'에 대한 근원적 질문들로 뇌와 의식의 진화론적 변화와 인류에게 가공할 위력을 선사한 기술의 발전이 갖는 위상 등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지면을 할애한다.
발전이라는 측면에서의 기술은 이득일까, 아니면 해악일까?
인간에게 기술은 유익으로 기억되지만 지구환경적 측면에서는 결코 유익하지 못한 존재감을 갖는다.
기술이 제공하는 이익이 인간과 지구 환경 모두에게 적용되는 공익(公益)이 되었다면 문제가 될 일이 없겠지만 우리는 기술이 가져온 이익의 그림자는 외면하고 말았는지 모른다.
그로 인한 지구의 커다란 변화라 할 수 있는 기후 온난화와 대기의 변화는 이제 인류 전체의 삶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단계에 와 있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존재처럼 우리는 그렇게 삶을 살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풍요와 안락함이라는 존재는 더이상 우리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지 않는다.
138억 년의 우주 존재에 대한 서사에서 시작해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의 존재까지 톺아 볼 수 있는 거대 서사의 장으로 기억될 만한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의 존재론적 지식을 재편해 줄 기대작으로 손꼽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