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소사회 대한민국 - 사회교사의 눈으로 본 인구 소멸과 우리의 미래
정선렬.엄혜용 지음 / 행북 / 2024년 1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세계적인 인구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의 변화는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대한민국 답게 2023년 합계 출산율 0.69명으로 세계 최고의 저출산 국가가 되었다.
인구구조의 변화는 불균형으로 치닫고 있으며 초고령화, 초저출산이라는 양극화된 실태를 두 눈 뜨고 보고 있는 지금 작금의 현실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심히 걱정스러움이 앞선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생산가능인구의 변화를 야기하며 결국 국가 존폐의 여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두 명의 현직 사회교사가 현실 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키워드 중 교육, 세대, 사회구조라는 키워드를 통해 현실과 미래에 대한 통찰이 담긴 축소사회, 축소국가에 대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어 나만 잘 살자고 생각하기에 앞서 모두에게 닥친 공통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 꺼리를 함께 톺아 보는 책을 읽어본다.
이 책 "축소사회 대한민국" 은 서울, 경기 수도권과 지방의 극심한 격차들이 횡행하는 현실을 종종 뉴스를 통해 보지만 저자들의 이번 연도 신입생이 9명으로, 인가된 20명의 절반도 안되는 현실, 그마저도 1명은 외국인, 2명은 다문화가정, 내국인은 6명으로 소멸의 과정을 걷고 있는 현실을 직접 목도하고 왜 이러한 축소사회 대한민국이 되어 가는지에 대한 나름의 분석을 내어 놓고 있는 책이다.
그렇다고 저자들이 해결책을 독자들에게 제시하지도 않는다.
그렇다면 무엇을 하고자 함인지를 우리는 저자들의 글을 읽고 깨닫고 변화에 동참해야 하는 동기부여로의 기회 또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한다.
수도권과 지방 소도시의 격차는 이미 따를 수 없을 정도로 변화해 이젠 노인들만 남은 도시이자 조금더 있으면 노인 조차도 없는 유령도시가 될 수도 있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의 지금까지의 교육은 여전히 사농공상의 차별화를 힘주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가 사회 전반을 휘감고 있어 더이상의 교육에 희망이 없음을 느끼게 한다.
수 많은 고학력자들의 백수화는 개인의 탓을 하기 보다 정부의 교육정책의 실패에 기인하고 있음을 뼈져리게 느껴야만 한다.
그런가 하면 사회의 중추라 할 수 있는 40~50대의 현실은 부모의 부양, 자녀의 양육, 자신의 노후라는 그 어느것도 명쾌하지 못한 세대가 되었고, 60대 이후의 고령자들은 현재까지의 삶의 기반을 다져오느라 그들 자신의 노후도 책임지지 못하는 실정이 되고 있다.
10~30대 역시 무엇 하나 좋아할 수 없는 마뜩찮은 사회에서 오롯이 자신을 지키고 성장시켜 나가기도 바쁜 와중이라 결혼은 언감생심 꿈도, 희망도 포기한 세대가 되어가고 있다.
모두가 힘겨운 지금의 삶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에겐 우리 자신의 삶을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해야하는 능력과 책임이 있다.
미래의 우리 삶의 모습이 지금 이대로 지속 된다면 대한민국은 성장이 아니라 축소와 공멸이라는 성적표를 받아들게 될 수도 있다.
누구도 나, 우리의 삶과 인생을 책임져 주지 않는다.
오롯이 나, 우리 자신만이 그 삶과 인생에 대해 책임지고 반성하며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일이지만 모두가 함께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지금의 우리 발목을 잡고 있는 문제들을 끊어내야만 한다.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변화를 대하는 사람들의 인식부터가 문제 가 될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는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배려하며 새로운 제도를 통해 모두가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
AI 시대의 우리는 직업의 다양성, 전문성 등을 모두 놓친 세대가 될 가능성도 있다. 과연 우리는 미래를 위해 어떤 자세를, 어떤 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야 한다.
더불어 정부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4대 연금개혁 역시 그러한 선상에서 사고하고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
교육, 세대, 사회구조적 문제들에 대해 사회 교사들이 제시하는 문제를 개인적 차원이 아닌 공동체적 차원의 문제로 거듭 격상시켜 생각해 볼 일이다.
그러한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면 바람직한 개혁의 과정에 동참하고자 하는 나, 우리의 모습을 목도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전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