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짧고 쉬운 글의 힘
손소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4년 1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회의 다양한 강좌들 가운데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강좌들이 있다.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글쓰기' 강좌는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반영하는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글쓰기에 대해 관심을 갖는것일까? 하는 궁금증을 갖게 된다.
글쓰기는 말과 무엇이 다른가?
대부분의 사람들과 말을 해 보면 알겠지만 조리 있게 말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더 많은게 현실이다.
그런 면에서 글쓰기는 말보다 월등히 자신의 생각을 조리있게 표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해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글쓰기는 어려움이 없는가?
아니다. 글쓰기 역시 어려운 점이 없지 않지만 배우고 익혀 실전에 적용하면 그 무엇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기에 나, 우리가 선호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글쓰기에 대해 짧고 쉽게 써야 한다고 가르침을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짧고 쉬운 글의 힘" 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글쓰기에 대해 저자는 자신의 신문기고와 강의에서 밝힌 내용을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일상의 삶이 나, 우리에게는 고통과 스트레스를 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 많은 힐링을 위한 도구들을 통해서도 치유되지 못하는 마음과 몸을 가진채 나, 우리는 스스로를 속이며 사는 경우도 많음을 이해한다.
하지만 진짜 자신의 마음을 짖누르고 있는 스트레스와 고통에 해당하는 문제를 글로써 자신의 마음 닿는대로 써 나가다 보면 스스로를 위로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전문적인 작가가 아니기에 글쓰기에 강박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을 그러한 경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기에 스스로가 글쓰기에 완벽성을 기하고자 하는 의미를 모르지는 않기에 부담없이 마음을 드러내는 글을 써 보는것을 권하고 있다.
차라리 그러한 중압감이나 완벽성을 인식하게 되는것 보다 글쓰기에 관한 재능이 없어도 재밌게 글을 써 보는 일도 그러한 긴장감과 중압감, 완벽성에 대한 고집을 무너트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수 많은 작품들, 명문장, 대문호 등의 작품들이 나, 우리를 주눅들게 하지만 그러함에 물들기 보다 그들의 어떤 면이 나, 우리에게 선택받을 수 있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 오히려 글을 잘 쓰기 위한 준비로의 단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글쓰기의 힘은 무엇일까? 왜 수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에 대해 도전하고 있는것일까 하는 물음을 되짚어 보면 나, 우리의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와 고통, 긴장감, 불안 등을 잠재우는데 도움이 되기에 우리는 글을 쓴다고 판단한다.
말을 하면서도 자신이 무슨말을 어떤 마음으로 하는지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만 글을 쓰는 일은 자신의 심리적 상황에 대한 판단을 거쳐 글을 써 나가기에 스스로를 객관적인 의식으로 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나, 우리를 객관적 관찰자로 변화시키며 성장을 꾀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 주기에 글쓰기의 힘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글쓰기를 시작하는 힘보다 지속하는 힘이 더 어렵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즉 습관의 힘을 말하고자 하는데, 한 줄을 쓰더라도 꾸준하게 매일 써야 하는 반복과 습관적 글쓰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매일 매일 반복되는 나와의 진심어린 대화, 그 속에서 느끼는 변화와 발전의 가능성을 날마다 느끼고 만끽할 수 있는 글쓰기의 반복된 힘, 습관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까닭을 통해 짧고 쉬운 글의 힘이 갖는 매력을 십분 느낄 수 있게 알려주고 있어 글쓰기에 매력을 느끼는 독자들께 다독의 선택을 전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