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극단에 서는가 - 우리와 그들을 갈라놓는 양극화의 기묘한 작동 방식
바르트 브란트스마 지음, 안은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4년 10월
평점 :
인간의 사회생활은 '함께'의 사회 연대를 말하면서 때론 서로를 향해 총과 칼을 들이대는 극단에 서기도 한다.
왜 그러한 극단에 빠지게 되는걸까?
서로 점점 더 달라지고 멀어진다는 의미를 두고 우리는 양극화 현상이라 말한다.
극단은 양극화의 다른말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양극화를 볼 수 있지만 그러한 양극화가 가져오는 불편함은 사람들간의 불편의 심화를 부추킨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양극화로 인해 사회 계층의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중간계층의 분화로 양극단의 쏠림 현상과도 같은 모습을 목도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사회적 갈등의 대표적인 문제로 양극화에 대한 의미있는 사유를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우리는 왜 극단에 서는가" 는 '함께'를 표방하는 인간에게 '우리 vs 그들' 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의 보편적 틀로 나뉘고 이러한 방식이 그들의 역사에서 비롯된 사고방식의 일부이며 현실에서의 가장 큰 대립이 큰 이유가 되기도 한다고, 그러한 의미에서 한국의 현실 속에서 마주하는 양극화의 의미, 보편적 양극화의 역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탈양극화의 해법을 제시하는 책으로 파악할 수 있다.
양극화는 어느 한 편으로의 기울어짐을 말한다.
저자는 그러한 의미를 이해하고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가며 중립적 관점, 시선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노력한다.
양극화는 문제를 일으키는 갈등관리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안내하며 기본적 법칙으로의 사고 구조, 연료, 직감의 역학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어 곱씹어 볼 수록 저자의 놀라운 통찰력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만의 정체성이 존재한다. 저자는 그러한 정체성의 연료로의 영역으로 양극화를 꼽고 있으며 영감을 위한 재료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정체성이 타인과의 함께 사는 새상애서의 부조화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런 새로운 갈등의 부재는 좋은 결과의 증거가 될 수 없음을 일갈한다.
그렇다 누구나의 정체성과 연결된 갈등의 내부적인 문제가 양극화라면 인지를 기반으로 하는 사유의 대상 모두에게 우리는 갈등과 양극화라는 비합리적인 문제를 껴안게 된다.
저자는 주동자, 동조자, 방관자라는 정체성을 통해 나, 우리의 현실과의 접목을 통해 양극화의 개별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과연 나, 우리는 어떤 정체성을 가진 존재라 생각할 수 있을까?
인간의 심리적 근원으로의 정체성에 대해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양극화에 미치는 나, 우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좀 더 깊이 이해해 볼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사회적 존재로의 삶을 살면서 누가 갈등의 불을 지핀다고 생각할 수 있는가? 바로 나, 우리라는 사실이다.
그러한 의미를 담아 나, 우리가 양극화에 몰입하게 되고 사회의 불편한 현상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게 되는 나, 우리의 정체성 프레임에 대해 고민해보게 한다.
온전한 '함께'를 위한 사회가 아닌 '우리 vs 그들' 이라는 양극화가 아닌 모두가 우리라는 사회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는 책으로 기억될 도서로 기억 될것 같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