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음악인류학 - 불교와 세계종교
윤소희 지음 / 민족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쳐 온것이 어디 한, 둘일까 싶다.

하지만 수 많은 다양한 존재들이 인간 삶에 영향을 미쳤기어 오늘 호모사피엔스로의 삶을 살고 있다 말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가장 오래된 영향자는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이 일어난다.

물론 아주 오래전 부터 미술도 그러한 역할을 했다지만 음악 역시 인류의 발생과 함께 한 오랜 기원을 가지고 있다 생각할 수 있다.

흔히 말하는 불교음악에서 범음성(梵音聲)은 부처의 음성을 듣는것 만으로도 감복하게 된다는 그 음성을 뜻하지만 오늘날에의 범음성은 맥락은 같되 그 의미에서는 조금 다르기에 불교의 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

한민족은 세계 어느 민족보다 음악을 좋아하는 민족이다.

현재의 한류, K-POP의 위상을 생각하면 음악과 한국인의 DNA는 기묘한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을 낳기도 한다.

'불교와 종교음악'이라는 컬럼으로 독자들의 성화를 이끌어 낸 저자의 소리로 보고 그림으로 듣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음악 인류학" 은 인간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친 불교와 세계종교 음악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마치 그것이 붓다의 범음성에 비견하듯 음악의 범음성이라는 측면을 강조해 치유와 명상, 기쁨과 환희, 분노와 슬픔을 풀어내고 희락(嬉樂)하기 위한 책이다.

2장으로 구성된 목차는 1장에 인도, 중국, 한국을 통섭한 내용으로, 2장에는 이슬람, 기독교, 불교를 통섭하고 있다.

통섭(通涉)은 사물에 널리 통한다는 말, 혹은 큰 줄기를 잡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의 음성적 매력에 신뢰와 감동을 주는 파동 수가 남자는 90~100Hz, 여자는 190~200Hz로 인식한다면 이러한 파동을 비즈니스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붓다의 범음성은 존재 자체의 무위공명이자 메아리로 훗날의 범음범패로 탈세속적, 성스러움, 어법함과 같은 뜻이 내포 되어 있다고 한다.

세계사적 음악사에 대한 관련 설명들이 무척이나 깊이 있는 서사로 읽혀진다. 

음악에 문외한인 나와 같은 이들에게는 어쩌면 수박 겉핧기 식이 될지도 모를 일이지만 인류사에 등장한 음악이라는 존재에 대해 깊이 있는 서사를 통섭한 내용은 수박 겉핧기 식이라도 지적 대화를 위한 방편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깨달음의 소리, 진리의 소리를 아무런 감흥이 없이 듣는 사람은 없다.

오히려 과거의 사람들은 그러한 소리, 음악을 통해 신의 계시와 같은 의미를 부여하거 읽어냈음을 생각해 보면 범음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음악적 서사의 통섭적 해설은 무지를 일깨워 내는 역할을 하는데도 일조한다 할 수 있겠다.



음악이라는 존재는 벽을 세운다 해서 멈출 수 있는것도 아니고 보면 수 많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다양한 인간들의 삶에 영향력을 미쳐 왔음을 실감할 수 있다.

한 나라의 음악사에 깃든 묘한 꼬투리들이 오롯이 그들만의 음악적 역사에서 비롯된 것이라기 보다 수 많은 다양성의 물결들이 결합되어 오늘에 이르렀음을 깨닫게 된다.

또한 그간 우리가 알아 왔던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들도 지금에 이르러 다시금 해석되거나 분석되어 또다른 사실로 받아들여 질 수 있음을 알수 있는 일들이 이러한 음악 인류학을 통해 일어나고 있다.

백결 선생의 금(琴)에 대한 분석이나 염주에 대한 분석, 처용의 정체, 서로 다른 종교인 기독교와 불교의 통함에 대한 이야기등 등에 대한 놀랍고도 신비스러운 음악 이야기와 인류사의 복잡다단한 내용들이 빼곡히 녹아든 내용을 만나며 지금의 세기가 결코 허투루 이뤄진 시대가 아님을 실감하고 느끼게 한다.

음악적으로 무지스런 나에게도 지적 대상으로의 풍부함을 엿보게 해 준 음악 인류학의 정독을 공자들에게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