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를 위한 읽다 보면 똑똑해지는 고사성어 134
김한수 지음 / 하늘아래 / 2024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10/pimg_7974361234426839.jpg)
우리의 언어는 한글과 한자어로 구성된 복잡한 체계를 갖고 있다.
순수 한글만으로의 체계에 한자어의 보조적 역할은 더욱 명확한 뜻과 의미의 전달을 위한 방편이 되기도 한다.
고사성어는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이름한다.
즉 옛날의 일로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사람들의 언어 생활에 있어 만들어진 관용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생각할 수 있다.
네글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를 통해 오늘의 나, 우리의 언어 습관의 형성이나 지혜로운 사용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쉬운 말로도 표현할 수 있는 일이지만 말이 아닌 상황 전체에 대한 표현을 할 때는 고사성어의 활용만큼 좋은것이 없음을 생각해 보면 그 쓰임에 따라 나, 우리의 지적 수준에 대한 평가와 사람됨에 대한 인식 또한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임을 간과할 수 없는 일이다.
읽음으로써 똑똑해지는 고사성어 134를 만나 똑똑해짐을 기대해 보며 읽어본다.
이 책 "읽다 보면 똑똑해지는 고사성어 134" 는 제목에 나와 있듯이 수 많은 고사성어 중에 교과서, 수능과 학교 시험 등에 자주 출제되는 134개를 선별했고 고사성어의 겉뜻 풀이와 속뜻 풀이를 더하여 이해를 돕고 고사성어의 유래적 설명을 통해 발생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하는가 하면 한자 형성 과정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어휘력 향상과 문해력 향상에 도움을 얻을 수 있고 고사성어의 응용을 통해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알려면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 돌아보니 우리 사회에서 사용하는 수 많은 고사성어들이 원래의 고사성어를 응용해 사용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는 터라 고개를 갸웃 거릴 수 밖에 없었다.
미인박명은 가인박명(街人薄命), 언중유골은 계란유골(鷄卵有骨), 거거익선은 다다익선(多多益善) 등 수 많은 응용의 사례들이 난무하고 있는 사회에서 정작 그 뜻과 의미를 이해하고 있지 못한다면 무슨말인지 아연해 할 수 밖에 없고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으로 까지 변화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알면 알수록 더욱 흥미롭고 지혜로운 나, 우리 자신을 만드는 고사성어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저자는 읽다보면 똑똑해지는 고사성어라 표현했다.
왜 읽다보면 똑똑해진다고 말했을까? 고사성어가 가진 원래의 뜻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가 하면 그 말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 배경이란 사람들의 삶의 현장에서 일어난 것들이라 함축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러한 표현들이 오늘날의 나, 우리의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활용할 수 있을지를 살펴 익힐 수 있기에 그렇다고 인정할 수 있을것 같다.
글에서 정보를 얻고 지혜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얻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렇다고 아예 기회가 없는 일도 아니다.
고사성어와 같은 대상을 깊이 있게 파고들어 이해하는 시간, 활용할 수 있는 삶을 산다면 보다 똑똑해진 나, 우리를 목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리라 판단해 볼 수 있다.
독자들의 똑똑해지는 나날을 위해 일독을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