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의 재산 - 친일이라는 이름 뒤의 ‘돈’과 ‘땅’, 그들은 과연 자산을 얼마나 불렸을까
김종성 지음 / 북피움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전히 우리는 친일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현실의 작태가 흉흉하다.

나는 아니야, 라고 애써 왜면하는 사람들, 하지만 그들의 그런 모습은 보편 타당한 모습으로의 대중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더구나 그들 자신만의 사리사욕을 위해 일본이 주는 단물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는 똥파리 같은 모습들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의 시대는 모두가 힘겨운 시대였음을 부인할 수 없고 국가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고 독립운동을 하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일본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친일분자들의 존재도 있었기에 그들을 처단하고자 하는 1948년의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한 완전 청산이 이루어지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기만 한 실정이다.

그 이후 지지부진한 친일청산의 과업은 거센 저항에 부딪히게 되고 지금의 현실까지 이어져 오고 있지만 친일파의 재산이 갈 수록 늘어난다는 뉴스 기사들을 보며 독립운동가 자손들의 힘겨운 삶의 모습을 대비해 보면 무언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해 볼 수 밖에 없다.

어쩌면 국민적인 차원에서의 친일파에 대한 무지가 그러한 상황을 만드는데 일조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보면 나 부터도 부끄럽고 죄송스런 마음이 든다.

알아야 하고 알면 바꿀 수 있는 개선의 기회를 만들 수 있기에 친일파들의 재산증식에 대한 역사를 파악해 제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친일파의 재산"은 친일파 그들의 행위에 대한 합리화가 타당치 않으며 그들 스스로 자기 사익을 위해 친일에 가담하고 물질적 보상을 받은 친일행각자들의 재산 증식의 과정들을 조사해 오늘의 나, 우리에게 아직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청산의 과업을 위해 고민할 수 있게 하는 책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백성들의 삶이 모두 친일의 행각이라면 친일파들의 자기 합리화를 뭐라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목숨을 걸고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가들과 일반 백성들은 친일의 댓가로 인한 물질적 보상이라는 천박하디 천박한 의식을 갖지 않았다.

일반 백성들의 친일이라면 차라리 이해해 볼 수 있을 수도 있으나 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작태는 의식부터 썩어 문드러져 있어 백성들 위에 군림하던 그간의 모습을 버리지 못하고 친일을 함으로써 물질적 보상으로의 재산증식을 통해 편하기 먹고 살았음을 살필 수 있다.

친일파를 말하면 을사오적의 인물이나 이완용을 떠올리는 지금의 나, 우리의 의식도 문제라 할 수 있다.

친일파가 어디 그들만 있을까? 책의 첫 페이지를 펼치면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한국 침략에 편승해 이에 부역한 행위를 하거나 지위를 차지해 한국의 자주, 독립을 방해한 인물들의 사진을 실어 두었으며 총 30인의 친일파들의 생몰 연대를 실어 언제까지나 잊지 않도록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



군인, 밀정, 조폭, 종교인, 갑부, 고위관직 등 지위 고하를 막론하지 않고 친일 행각으로 재산을 모은 그들과 그들의 자손들은 여전히 대한민국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며 살아가고 있다.

나와는 상관 없는 조상이 벌인 일이라 나는 죄가 없다고 말할 텐가? 참으로 뻔뻔한 의식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친일행각이 어쩔 수 없었다, 부득이 할 수 밖에 없었다는 합리화를 하는 친일파들의 사탕발림에 속아 넘어가서는 안된다.

책을 읽는 내내 나 자신이 이렇게 흥분을 잘 하는 존재인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다.

사람은 아무리 좋은것도 자신이 싫어하면 하지 않는 독립심과 저항성을 가진 존재인데 국가의 심각한 상황을 틈타 일본의 손을 잡고 자신을 위한 삶을 사는 일은 죄이며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다.

대대로 죄에 대한 반성을 해야 마땅하다. 그들이 누린 기득권에 대한 몰수가 필요하다. 국가의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대한 혁신적인 제도가 구축되길 기원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