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 삶의 모든 역경과 시련을 뛰어넘는 법
김시현 지음 / 다른상상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라는 시련을 겪어 나가면서 나, 우리는 무수히 많은 상처와 고통을 입는다.

하지만 그러한 시련의 시기를 온전히 넘길 수 있는 일은 그 무엇도 아닌 마음이 하는 일로의 시련에 대한 근력을 기르는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력은 일상의 나, 우리의 생활에서 조차 꼭 필요한 핵심으로 자리한다. 

신체의 근력이 없다면 우리는 몸을 움직일 수 없을뿐 아니라 하고자 하는 행동을 할 수 없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신체 뿐 아니라 마음의 근력도 키워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인간의 마음은 불가사의한 존재, 그러한 마음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은 누구나 한 번 쯤은 해 보았을 것이라 판단해 본다.

인간의 삶에 드리운 시련들은 어쩌면 나, 우리의 마음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 일이 아닐까, 그러하다면 마음씀에 따라 시련의 고통도 상쇄하거나 느끼지 않을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른바 나, 우리 삶에 대한 시련의 고통을 마음이라는 존재로 얼마나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회복탄력성" 은 명쾌하게도 핵심 주제를 책의 표지에 실어 두었다. 

삶의 모든 역경과 시련을 뛰어 넘는 법이라고... 그 밑바탕에는 회복탄력성이라는 마음 근력을 키우는 법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저자는 사고혁신연구소 소장으로 창의적인 발상으로 인생의 근본적인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인물로 나, 우리 삶의 모든 상황들이 더 나은 곳으로 향하는 계단으로 생각며 인생에 있어서의 고난과 아픔을 회복탄력성으로 치유해 삶의 전환점이자 또 다른 시련과 고통을 견뎌 낼 수 있는 무기로의 힘을 전해주고자 하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더 이상 나, 우리가 어쩔 수 없다 생각하게 되는 상황들, 낭떠러지기라 판단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내 안의 회복탄력성을 일깨우며 재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촞점을 맞춰 지속가능한 나, 우리의 삶에 대한 동기부여를 확실하게 해주는 책이라 볼 수 있겠다.

5장으로 구성된 내용은 역경을 뛰어 넘는 사람들의 비결, 그들에게 닥친 역경에서 현실의 나, 우리에게 닥친 문제와 같은 기시감을 느끼며 내안의 회복탄력성을 이끌어 내는 8가지 질문은 현실파악과 함께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론으로 인식할 수 있겠다.

중꺽마, 꺾이지 않고 다시 나아가게 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문장이지만 저자는 그것을 무기로 표현한다.

그렇다, 꺽이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자그마한 힘, 그것이 회복탄력성과 연결되고 나, 우리의 행복한 삶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에 대한 설명을 5장에 걸쳐 설명, 이해, 실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면 나, 우리 삶의 회복탄력성은 세상 사는 일에 있어 가장 크게 쓰이는 마음에 영구불변한 마법을 제공하는 것과 같다 말할 수 있을것 같다.



누구나의 삶에 대한 이해는 각자가 느끼는 바에 따라 달라진다.

나, 우리 모두의 인생에 있어 가장 큰 힘은 넘어지지 않는것 보다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게 스스로를 독려하고 위로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해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모습으로의 존재감을 확립하는 일이다.

어지러운 세상에서 나, 우리 자신의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의식을 통해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 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 벌어지는 상황들을 극복해 내려면 마음의 훈련뿐이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삶의 역경, 시련, 불확실성, 상처 등에 대해 도전하고 맞서기 위해 마음 훈련을 통한 회복탄력성을 갖춘다면 적어도 세상을 살아가는 가운데 뚜렷한 삶의 족적을 그릴 수 있는 무기 하나를 갖추었다 판단해보며 기쁨을 만끽할 수 있으리라 판단해 본다.

나, 우리 인생, 삶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한다면 저자의 책을 통해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바래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