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뢰의 과학 - 세상을 움직이는 인간 행동의 법칙
피터 H. 킴 지음, 강유리 옮김 / 심심 / 2024년 6월
평점 :
신뢰는 오늘 우리 사회에 있어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없는 사람과 대화하는 일조차 거부하는게 사회적 현실이고 보면 신뢰의 힘이 무척이나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그렇다면 신뢰는 무엇이기에 나, 우리가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포괄적 덕목으로의 가치라 말하는 것일까?
신뢰는 사람이 사람에 대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마음을 말한다.
이는 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나, 우리 역시 타자에게 그러함을 보여주어야 하는 상호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있는 원칙이라 말할 수 있다.
자신의 실수로 뭇 사람들에게 신뢰를 잃은 사람들이라면 꽤나 고통스런 고독감이나 혼자만의 느낌을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수는 사람이기에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한 번 신뢰를 잃는다면 다시 회복하기 까지는 무척이나 고통스런 시간과 노력이 따른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신뢰의 과학은 신뢰의 특성을 고려해 신뢰도를 판단하며 각각의 요소들이 나, 우리가 상대와 어떤 관계를 맺느냐애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모습들을 살펴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의 안내를 모색케 해준다. 그 책을 읽어본다.
이 책 "신뢰의 과학" 은 보통의 나, 우리가 타인에 대해 신뢰감을 갖는데 있어 그 판단의 기준으로 시간적 여유, 일관성, 역량, 신중함, 공정함, 도덕성, 신의, 열린 마음, 약속 이행, 수용력이라는 10가지 특성을 고려해 판단하는데 이는 타인과의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복합적인 양상으로의 문제점으로 드러나기에 신뢰를 잃은 이들이 다시 신뢰회복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방법 역시 너무도 다양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다.
그렇다면 10가지 모두가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보편타당하게 나, 우리의 마음을 돌아 보면 타인에 대해 갖는 기준은 아마도 역량과 도덕성에 대한 기준의 부합에 따르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 등 다양한 층위에 따라 다르고 또한 사회적 위치에 대해서도 신뢰의 문제는 천차만별로 다르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나게 된다.
그러한 신뢰 잃음에 대해 일관적인 태도로 신뢰회복을 꿈꿀 수 없다고 저자는 주지하고 있다.
신뢰에 대해 20년 간 이상을 연구해 온 저자는 미국경영학회의 '책임있는 연구상'을 사상하며 신뢰에 대한 수준 높은 연구성과를 얻었다고 한다.
동양인인 나, 우리의 시선으로서는 배우 아놀드 슈워제네거나 도날드 트럼프 전 미국대통령의 성추문 사건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투의 판단을 많이 내린다. 개인뿐만이 아닌 언론사 역시도 그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음이라면 우리의 의식에 존재하는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국민들과 상당히 다른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하지만 우리와는 달리 미국 국민들은 그들의 성추행 사건을 도덕성의 문제라 보기 보다 역량의 문제라는 관점으로 전환해 보았고 그럴 수 있다는 식의 판단을 내렸고 두 인물은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왜? 라고 물을 수 있지만 그들의 국민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정확히 보여줄 수 있었던 역량에서 그들은 용서 받음으로 해결했음을 판단해 보면 달라도 많이 다르고 국민의 지적 수준이 우리와는 차이가 있음을 느껴보게 된다.
무너진 신뢰는 쉽게 회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그러하기에 신뢰회복의 열쇠는 나, 우리 모두에게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없는 사람, 신뢰할 수 없는 조직, 신뢰할 수 없는 사회가 되어가는 불신의 시대인 현실에서 나, 우리는 어떻게 신뢰 사회, 신뢰할 수 있는 조직과 개인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 그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저자의 연구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력이 놀랍고도 신뢰감이 간다.
수 많은 생각과 판단을 해야 하는게 바로 나, 우리의 삶이자 사회생활에서의 모습이라 하겠지만 오늘날의 나, 우리는 생각보다 생각하지 않고 판단하는 많은 경우가 바로 스스로를 옥죄는 오라에 걸려 빠져 나올수 없듯 신뢰하지 않고 불신하게 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지적하고 있어 시대적인 맥락으로도 불신의 현장은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일깨워 준다.
나, 우리 역시 누군가에게 신뢰 받고자 한다면 타인에게도 우리의 신뢰를 보여주어야 마땅하다. 그러한 상호관계의 퍼즐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불신의 시대를 종식시키고 신뢰의 과학시대를 앞당겨 볼 수 있을것 같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