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사람은 가설부터 잘 세웁니다
카시와기 요시키 지음, 박찬 옮김 / 처음북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에는 시키는 일만 잘하면 되는 세상이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의 세상은 이제 창의적인 발상으로 일하기 원하는 세상이 되었다.

일을 하는데 기존의 방법대로가 아닌 창의적인 방법으로의 일을 하라니 답답할 수도 있는 노릇이다.

하지만 뜻이 있다면 길을 찾을 수 있는 일이다.

일 잘하는 사람이라면 시키는 일뿐만이 아니라 어떤 일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고 처리해 나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러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까? 시키는 일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데 스스로 찾아서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일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라고 판단하는 독자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하기 그러한 독자들을 위해 저자는 일을 잘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한 방법을 통해 일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 있다고 전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일 잘하는 사람은 가설부터 잘 세웁니다" 는 일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나 도구만으로는 일이 안되고 일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며 일의 결과물의 질을 높이는 일은 어떤 일인가에 대한 이해를 먼저 구축하고 실천을 통해 성공을 경험하고 품질을 높이는 방식으로의 과정을 안내해 주고 있어 일을 잘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한 기대감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일을 함에 있어 얼렁뚱당 하려는 방식으로는 일이 가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뿐더러 설령 해결할 수 있다 해도 수준 높은 퀄리티를 달성할 수 없다.

가설이 뭘까? 혹은 가설의 중요성을 아는 사람들이나, 가설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를 모르는 사람들이나 가설을 통해 수준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얻고 싶은 모든이들이 읽고 목적하는 바를 얻을 수 있는 창의적인 존재자가 될 수도 있게 하려면 과연 어떻게 해애 하는 것일지 궁금해 진다.

가설(假設)은 어떤 사실을 설명하거나 어떤 이론 체계를 연역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정으로 이로부터 이론적으로 도출된 결과가 관찰이나 실험에 의하여 검증할 수 있는 이론을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얼렁뚱당 가설이 아닌 좋은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하며 정확도를 높이고 데이터 기반을 통해 설명할 수 있게 된다면 금상첨화라 할 수 있다.

저자는 나, 우리에게 일을 잘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좋은 가설을 만들기 위한 테크닉 등을 알려주며 나,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일잘러로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주고 있다.



나, 우리가 사는 세상의 많은 일들은 어제도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정답은 없지만 막연히 없다고 말할 수 없는 현실이다.

진짜 정답이 없다면 그것에 대해 검증하고 확인시켜 줄 필요도 있다.

이는 우리의 가장 큰 비즈니스 현장인 삶에서 만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 적용해 볼 수 있는 가설 설정과 검증을 통해 새로운 해답으로의 창조적 발상을 이뤄야 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게 한다.

창조, 창의는 오늘날 나,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의 화두이기도 하다.

같은 일이라도 어떻게 생각하고 가설 설정과 검증을 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의 질은 참으로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성과주의적 사회로 나아가는 현실에서 일잘러가 되기 위해서는 가설설정과 검증에 대한 수준 높은 실력을 통해 바람직한 일잘러로의 모습을 보여줄 나, 우리가 되어야 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