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서 포유류 - 말캉말캉하고 복슬복슬한 포유류의 13가지 특성
리암 드류 지음, 고호관 옮김 / Mid(엠아이디) / 2024년 5월
평점 :
만물의 영장이라고 자부하는 인간 역시 동물로 치자면 포유류, 즉 젖먹이 동물, 젖먹이 짐승에 불과함을 알아야 한다.
지금껏 인간에 대한 아니 동물에 속하는 많은 연구들이 행해져 왔지만 인간이 속한 포유류에 대해서는 아직도 밝혀져야 할 비밀들이 많은것이 사실이다.
아는것 보다 모르는것들이 더 많은 것이 현실이고 보면 여러 다른 포유류와 유사성 및 공통성을 보이고 있는 나, 우리 인간이라는 포유류에 대한 이해는 더욱 더 깊고 넓게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캉말캉하고 복슬복슬한 포유류의 13가지 특징을 통해 아직은 우리가 부족한 포유류에 대한 지식을 일깨워 주고자 하는 의미를 읽을 수 있다.
표유류가 가진 가장 큰 특징이라면 아마도 성적교감에 따는 자손의 번식으로 연결된 어떤 메커니즘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더불어 일상에서 나, 우리가 가졌을 다양한 궁금증에 대한 의문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면 더 없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며 그러한 의미를 제공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그래서 포유류" 는 현재의 인간인 포유류의 외형적인 모습을 과연 언제부터 가지고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부터 시작한다.
대다수 수컷들이 왜 고환을 안전한 복부가 아닌 주름진 휴대용 케이스에 넣고 다니는지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을 전해준다.
또한 수컷에게 성기가 있다면 암컷에게는 모유라는 특이점이 존재하며 그러한 방식으로 어린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동물이 포유류 말고는 없는지에 대한 연구는 나, 우리를 인간이 아닌 근본으로 돌아가 인간 역시 동물의 존재라는 근원적 존재감으로 전환해 진화와 관련이 있는 포유류만의 특성이라 여길 수 있게 한다.
아마도 이는 진화생물학 또는 생물학적 특성을 통해 인간이 아닌 동물로서의 포유류에 대한 정의, 특징, 진화적 기원, 생리학적 특성, 행동과 생태 등에 대해 이해하는 매우 귀중한 시간을 제공한다.
모든 포유류는 털을 갖고 있으며 체온 조절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에 따른 변화에 따라 추위로 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체온조절 능력은 더운 기후에서도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을 발동시켜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한다.
그러므로 포유류는 북극과 같은 극지방은 물론이거니와 사막지역에 이르기 까지 지구상 곳곳에 분포하지 아니한 곳이 없을 정도의 분포도를 보인다.
뇌의 주름진 회색질로 둘러 싸인 부분에 의해 모든 경험을 현실로 만드는데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환경적 적응능력을 키워 준 일은 인간만의 새로운 특질이 아닌 포유류에 속한 공통적 분모로의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매우 다양한 방식의 연구들이 포유류에 대한 지적 탐험을 가능하게 하고 나,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크게 변화를 느끼게 된 것은 바로 암컷에 대한 인식이라 할 것이다.
더구나 암컷이 가진 질과 모유에 대한 이해는 지금껏 우리가 인식해 왔던 숫컷 지상주의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방식의 내용이자 이해를 필요로 하는 내용이라 꽤나 충격적이라 할 수 있었다.
그러한 반면에 지금껏 우리가 알았던, 알았다고 생각했던 지식들이 상당히 무지함에 쌓인 것들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인간뿐만이 아닌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들의 탄생과 관련한 비밀은 지금까지 진화론적 주장이 많았지만 결국 진화론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포유류와 인간 존재의 증명에 맞닥트리게 되면 여전히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 부분이라는 생각을 버릴 수가 없게 된다.
더불어 인간이 지구상 만물의 영장이라 하지만 여전히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존재가 되어서는 인간이라는 포유류도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기억하게 된다.
건강한 생태계에서 숨쉬는 포유류의 모습으로 사는 인간 역시 그 세계에 일조하는 일원으로 기억되길 바래보며 일독을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