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들 - 다중우주의 비밀을 양자역학으로 파헤치다
로라 머시니-호턴 지음, 박초월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24년 5월
평점 :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확인된 정답이라 말할 수 있는 것들은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지금껏 믿어 의심치 않았던 우주에 대해 하나가 아닌 다중 우주론이라는 논리를 펼친 인물의 이야기를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아마도 소설적이거나 종교적인 의미로의 다차원을 생각하면 어쩌면 우주는 우리가 생각하는 하나의 우주가 아닌 여러개의 복합된 우주론이라는 다중우주론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그러한 다중 우주론은 SF 영화 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우주관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천문학은 주먹구구식의 논리를 가르치는 학문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들이 조합된 학문이자 양자역학적 대응이 필요한 학문이라 할 수도 있다.
그 옛날 지동설과 천동설에 대한 역사를 익히 알고 있지만 이제는 지구에 한해 이해하기 보다 지구가 속한 우주라는 존재가 하나가 아닌, 아닐 수 밖에 없는 근거에 대한 이유를 만나볼 수 있는 흥미로운 여정이라 하겠다.
과연 신적 존재의 창조론이 아닌 과학적 근거로서의 연구 끝에 만난 다중우주론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들" 은 알바니아에서 태어난 로마 머시니-호턴 물리학자가 우주의 기원을 탐구하다 새로운 다중우주론에 대한 가능성을 확신하게 된 내용을 담고 있어 무척이나 SF적이거나 혹은 신적 창조적인 내용에 역설적인 현실을 통해 우주탄생의 이론을 이해하고 다중우주론에 대한 새로운 주장에 더욱 궁금증을 갖게 만드는 책이다.
아무것도 없는 허공에서 인간의 뇌가 생성될 확률을 계산하면 과연 얼마나 될까?
아마도 우리의 생각이 인지하는 한 극히 미세한 수치겠지만 그러한 확률로의 우리 우주의 탄생에 대한 확률론이 갖는 가정은 과학적 분석에 있어 가장 핵심이랄 수 있는 신뢰도 측면에 있어 확언할 수 없는 단계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로라 머니시 -호턴은 현실세계의 물리법칙을 벗어난 양자역학을 통해 빅뱅과 인플레이션으로 우주가 팽창하기 전, 입자인 동시에 파동이었음을 통해 다중우주론을 주장한다.
과학, 천문학 책들을 종종 보았지만 다중우주론을 주장하는 인물의 다중우주론에 대한 근거와 뒷바침 자료를 통해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 일은 쉽게 만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하지만 다중우주론을 명확히 하기 위한 자료나 근거를 확인해 보거나 딱 맞아 떨어지는 명료함을 얻을 수 없을 수도 있다.
우리가 존재하는 우주가 단일하다는 생각은 아직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질 만큼의 명징성을 갖고 있지 못하기에 더욱 많은 다중우주론에 대한 이해와 자료들을 통해 확인,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다중우주론이 기정 사실이라면 우리에게는 더 많은 기회들이 존재하는 것이며 인간의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해 고군분투하는 마음으로 매진해야 하는 시대를 보낼 수도 있다.
저자가 말하는 다중우주론에서의 '자연선택'에 대한 설명을 통해 자연발생적으로 탄생되는 우주생성론에 대해 생각해 보면 다중우주론에 속하고 우주에 속하는 지구속 인간인 나, 우리의 존재감이 아주 미약하지만 지속적인 물방울이 바위를 뚫듯 우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천착이 더 나은 우주에 대한 앎, 지식을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하리라 판단해 보며 귀중한 다중우주론에 대한 이해를 가져볼 수 있어 매우 재미있는 독서시간이 되었음을 밝힌다.
인간 역시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듯이 다중우주라는 우주관에 대해서도 무한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생각해 보면 우주와 인간이 연결된 존재감을 갖고 있음이 우연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놀라운 다중우주론에 대해 이해해 볼 수 있는 시간이라 독자들의 일독을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