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아브람 알퍼트 지음, 조민호 옮김 / 안타레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지향하는 가치 중에  위대함과 탁월함은 오늘 이 세계를 살아가는 나, 우리의 의식을 점령하는 영향자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목적지향적 삶이 위대함에, 인간의 의식과 행동이 탁월함에 경도된 상태로 발전해 왔기에 보시다 싶이 오늘 현재와 같은 삶의 환경을 목도하고 있는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그러한 위대함과 탁월함주의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불합리와 불평등의 궁극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며 개인과 사회가 직면한 중대한 문제로 우리는 행복한 삶을 위해 위대함과 탁월함이라는 근거없는 의식을 배제하고 '충분함' 이라는 의식을 행복의 기준으로 삼아 삶의 변화를 꽤해야만 한다.

충분함이 물리적인 채움으로의 채움이 아니라 인간의 기본적인 만족과 행복에 대한 연대적이고 공동체적인 충만감을 뜻한다면 앞서 이야기한 위대함, 탁월함이란 경쟁적이고 독단적인 의식보다 윌등히 지속가능한 인간의 삶의 변화를 야기하는데 유익한 트리거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로의 충분함에 대한 설명과 통찰적 사유를 제시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는 인간의 삶이 갖는 불평등과 불합리에  근원이 되는 위대함과 탁월함이라는 의식을 배제하고 연대적, 공동체적 충만감을 통해 개인과 사회, 양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설명하는 책이다.

저자는 제목에서 말했듯이 '충분함' 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충분함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흔히 생각하든 단순히 물리적인 채움으로의 충분함이 아니라 인간이 지향하는 행복에대한 기본적인 만족감과 사회적 연대감, 공동체 의식에서 기인하는 충분함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환이야 말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행복에 다다를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일이다.

그러한 전환의 전제조건은 무엇인가?

저자는 개인의 세계과의 변화를 통해 충분한 삶을 지향하고 작은 성취와 타자와의 소중한 관계를 소중히 하는 등 사회적 변화에 대해 함께 관심과 변화의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고 전한다.

다분히 인문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하면 모두의 행복을 위한 변화를 꽤하는 일이라 철학적 탐구의 대상이라 생각해도 틀리지 않을것 같다 생각할 수 있다.



인간 삶의 궁극적 목적이 '행복' 이라면 위대한 소수보다 충분한 다수가 되는 사회가 더 바람직하다 판단할 수 있는 일이다.

우리 사회가 보여주는 경쟁주의, 능력주의는 기회의 균등을 거세하며 부와 명예라는 사회적 보상이 기울어진 운동장 처럼 불공평한 삶에 치우쳐져 있다.

인간의 오래 삶 속에 내재 된 경쟁적 욕망이 오늘 지구의 위기를 불러왔고 자연환경 파괴로 말미암아 기후위기와 같은 공멸의 재앙을 불러 일으킬 지경이 되었다.

누구의 잘못이라 말할 수 없다.

지금껏 인간이 사유하고 행동해 왔던 삶의 근원이자 기준이 잘못 되었다 생각할 뿐이기에 더 늦기전에 이젠 바로 잡아야 한다는 안타까움과 급박한 마음을 숨길 수 없다.

위대한 인간의 위대함을 자랑하기 보다 공존을 위한 연대와 공동체적 행복을 위한 충분함을 실현하는 탁월함을 실천하는 것이 진짜 위대함과 탁월함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독자들의 충분한 삶을 위한 변화를 꾀하는데 도움이 될 일독을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