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디지털 대전환 시대 AX 인공지능 대전환 - AI Home + UI/UX
이정용.임재희 지음 / 광문각출판미디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X는 뭐지? 하도 빠르게 변하는 세상 탓에 보고도 잊어 버리든가 하면 생소한 단어나 용어도 많음을 부인할 수 없지만 그 이면에 그러한 대상을 알고자 노력하지 않는 나의 무지함도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하기에 다양한 장르의 책들을 읽고 알고자 하는 마음을 채우고 있음에도 너무 빠른 세상의 변화에는 적잖히 뒤쳐진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하지만 조급할 수록 돌아가거나 늦게가라는 말이 있듯이 조금함에 치우친 행동을 따르게 되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기에 나만의 속도로 나의 삶과 인생을 만들어 나가는 중이라 하겠다.

누구나의 인생과 삶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하여 AI Transformation 이라는 인공지능 대전환의 시대를 맞아 다양한 부분에 있어 변화를 일으키겠지만 우리에겐 가장 크게 변화 하게 될 우리 삶의 터전, 집의 변화를 눈여겨 볼 수 있는 기회를 알 수 있고 예측할 수 있음은 그러한 삶으로 변화해 나가는데 있어 유익함을 줄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매년 열리는 CES 행사에서 수 많은 사람들이 눈여겨 보는 HOME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의미있게 전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AX 인공지능 대전환" 은 AX 시대에 일상이 될 HOME 공간에서의 변화를 궁금해 할 수 있는 일반인들을 위해 그 변화의 양상을 함께 공유하고 새로운 주거 환경에 어떻게 적응해 나가야 하는지를 에측해 볼 수 있도록 도움주는 책이다.

그간 인공지능 AI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다른 여타의 산업들이 발전하거나 변화하는 이야기들을 마주하기는 했지만 우리 삶의 가장 중요한 터전인 집(HOME)의 변화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하지 못했던게 사실이다.

CES 행사에서 볼 수 있었던 AI HOME 시대의 개막, 과연 그것은 어떤 의미이고 그러한 변화를 이끌어 가는 국내외 기업의 AI HOME 전략을 살펴볼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이라 볼 수 있는 부분이라면 AI HOME과 UI/UX의 결합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UI/UX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개념과 사용자 경험개념을 인공지능 AI와 결부시켜 보다 나은 삶, 생활을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변화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AX 환경이라면 사람의 직접적인 터치 혹은 간접적 방식으로의 결합 과정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 내었다면 이제는 사람의 생각이나 말을 목소리로 전달하고 그것을 이해한 인공지능의 실천 결과를 그려볼 수 있는 시대로 바뀌어 가고 있다.

우리 삶의 환경들이 영화에서나 볼듯 한 환경으로 바뀐다면 과연 나, 우리는 지금까지의 삶의 과정들을 단순화 하고 새로운 변화된 삶을 꿈꿀 수 있어야 한다.

AX의 최종 목적은 그러한 나, 우리의 더 나은 삶에 촛점이 맞춰져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 삶의 터전인 집의 변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AX가 가진 다양성을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도 존재한다.

우리는 현실에 있어 그러한 부분들을 뉴스나 인터넷을 통해 부분적으로 알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저자가 제시한 상세한 설명에 따른 AI HOME x DX 산업과의 만남에서 보여주는 내용들은 지금과 미래를 아우르는 변화의 장임을 일깨워 준다.

시간을 다투고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입해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을 위해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다양한 산업에의 변화를 목도하는 일은 그만큼 미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는 다양한 함의를 주는 계기가 된다.

쉽게 생각하면 앎으로서의 지식을 갖는 일이기도 하지만 산업의 지도가 변하는 만큼 투자의 대상으로 고려해 볼 수도 있는 기회라는 사실은 현명한 사람만이 아는 사실이 아니라 이해하고 변화에 대해 수용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느껴질 지식이라 할 수 있다.

책의 말미에 수록된 2034년 서울 에덴 아파트의 일상을 읽어보며 기대하는 기대감 보다 현실의 변화는 더욱 빠르게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되는 지금, AX 인공지능 대전환에 대한 이해를 돈독히 해 보는 준비도 필수라 할 수 있겠다 판단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