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입문을 위한 최소한의 동양 철학사 : 인물편 - 요즘 세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동양 대표 철학자 17인
신성권 지음 / 하늘아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 아니라도 오늘을 사는데 머리아픈 일들이 얼마나 많은데 철학과 같이 고리타분한 분야에 신경을 써? 하고 불만에 가득한 표정으로 말을 할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철학은 우리가 생각하듯 그렇게 고리타분한 학문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어쩌면 인간의 삶이 시작 된 이래 인간에게 가장 유용한 도움이 되어 준 철학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존재가 바로 철학이다.

인간의 정신적 생활이 존재하는 곳이라면 철학은 어디에든 존재한다고 하니 인간에게는 철학이 마치 숙명적인 존재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철학은 인간의 정신적 사유에 대해 무엇이 올바르 참다운 삶인지를 이해하고 깨달을 수 있도록 인간이 몸담고 있는 세상에 대한 근본원리와 삶의 본질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흔한 개똥철학도 나, 우리가 가진 사유의 존재이며 그러함이 더욱 가치있게 발화되면 바로 타자들을 위한 철학이 될 수도 있음이다.

수 많은 철학서들이 존재하고 우리는 일상에서 그러한 철학서들을 마주하는 기회를 얻는다.

어렵고 난해하다고 생각하는 철학, 그것도 동양철학에 입문하기 위한 최소한의 철학적 서사를 통찰해 볼 수 있는 철학자 관련 이야기를 전해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철학 입문을 위한 최소한의 동양 철학사-철학자 17" 는 동양철학사의 근간을 이루는 춘추전국 시대 이후의 철학자들에 대해 조망하고 있으며 왜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냐?는 의문에 강자가 약자를 짓밣는 것이 당연시 되던 시대에 윤리와 도덕이 상실되고 인간 서로를 죽이는 절망의 시대를 넘어 그러한 시대와 사회를 극복해 내고자 하는 제자백가의 사상과 인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제자백가의 대표적인 사상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가, 도가, 법가이다.

공자의 인(仁), 의(義)로써 사회질서를 바로 잡고, 노자, 장자는 인간의 인위적 제도를 지양하고 무위(無爲)를 표방하고 한비자는 강력한 법과 군주의 권력으로 사회질서 유지의 기틀을 닦아야 한다는 주장을 어렴풋하게 나마 알고 있다.

춘추전국시대는 그러한 살품경한 시대였기에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한 시험대라 할 수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철학이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나, 우리의 삶과 인생,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생각하면 철학에 대해 최소한의 이해를 하는 것도 현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으로의 존재감을 갖추는 일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자의 말처럼 책을 읽다보면 서로 상출되거나 논쟁할 수 있는 철학의 혼란을 맞이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어느것이 옳고 그르다는 말을 할 수 없는 일이다.

나, 우리의 생각과 행동이 다르듯 철학자들의 척학적 사유 역시 다르고 달랐기에 그러한 결과를 받아들이는 나, 우리의 생각과 사유의 기준에 따라 이해하면 될 일이라 본다.



동양철학에 입문하며 공자, 노자, 장자, 한비자 등에 대해서만 지식을 얻는 일도 편향적이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도 무릇 철학자 다운 면모를 갖춘 인물들이 존재하기에 저자는 그러한 철학자로 원효, 지눌, 이황, 조식, 이이, 정약용, 최한기, 최제우 등을 선정해 우리의 철학적 서사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흔히 실학파를 말하며 정약용, 유득공 등을 말하지만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만이 참된 학문이라 주장한 '최한기' 야 말로 가장 실사구시의 철학자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과거에는 어땠을지 몰라도 현실의 우리에게는 실생활에 적용되어 활용할 수 있는 철학적 유용함이 가장 밀접한 철학적 삶을, 인생을 만들어 가는 길이라 판단할 수 있다.

관찰, 추측, 검증이라는 앎의 세단계를 제시하는 최한기의 철학은 오늘 우리 삶과 인생을 어떻게 만들어 나가야 하는지를 십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소중한 해결책이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철학이란 이런것이다.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생의 좌표를 새롭게 정의하고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는 사유와 통찰을 철학이라 명명할 수 있음이 철학입문에서 맛보는 행복한 느낌이다.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